도인법 ()

목차
관련 정보
활인심방
활인심방
체육
개념
도가에서 무병장수를 하기 위하여 행하는 신체운동과 호흡법으로 구성된 건강법.
내용 요약

도인법은 도가에서 무병장수를 위하여 행하는 신체 운동과 호흡법으로 구성된 건강법이다. 기와 혈을 신체 각 부위에 골고루 통하게 하는 방법으로 음강에 의해 창안되었다. 도인법의 실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도인법을 실시할 때는 입안의 기가 나가지 않도록 코로 조용히 숨을 쉬면서 행한다. 도인법은 자시(한밤중) 이후부터 오시(한낮) 전에 한 번씩 행하거나 밤과 낮 각각 세 번씩 행한다. 지속적으로 도인법을 실시하면 잡념이 없어지고 잠이 잘 온다. 또 추위와 더위를 타지 않고 질병이 없어지며 몸이 가벼워지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목차
정의
도가에서 무병장수를 하기 위하여 행하는 신체운동과 호흡법으로 구성된 건강법.
내용

음강(陰康)에 의하여 창안되었으며 손과 발을 움직여 기(氣)와 혈(血)을 신체 각 부위에 골고루 통하게 하는 방법으로, 도인술(導引術)이라고도 한다. 도인법은 전신의 주1주2을 동시에 행하는 신체운동과, 병을 없애 수명을 연장하는 여섯 글자씩으로 된 비결인 ‘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이라는 호흡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눈을 감고 마음을 고요히 한 다음, 주먹을 굳게 쥐고 주3하여 이[齒]를 서른여섯 번 딱딱 마주친다. 아울러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머리의 뒤를 가운데 손가락으로 무수히 튀긴다. 그런 연후에 숨쉬는 소리가 귀에 들리지 않도록 심호흡을 한다.

둘째, 손바닥으로 두 귀를 막고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위에 얹어서 주4를 두드린다. 연속동작으로 머리를 흔들고 두 손으로 양쪽 어깨를 두드린다. 또한, 혀로 입천장을 문질러서 침을 내어 세 번에 나누어 삼키고, 다시 심호흡을 하여 천천히 침을 뱉는다.

셋째, 두 손으로 허리를 무수히 문질러서 열이 나게 한 뒤, 두 손으로 허리를 힘주어 잡고 심호흡을 하면서 한참 동안 숨을 죽이면 주5주6으로 내려간다. 계속해서 머리를 구부리고 두 어깨를 무수히 흔들면 심화가 다시 단전에서 뇌로 올라간다. 이때 다시 심호흡하면서 두 다리를 쭉 뻗고 손을 깍지 끼어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하여 굴신을 세 번에서 아홉 번까지 한다.

넷째, 머리를 굽히며 발바닥을 열두 번 끌어당겼다 폈다 한 뒤, 발을 모아 주7하고 잇몸을 서른여섯 번 혀로 마찰하여 생긴 침을 세 번에 나누어 삼키는 동작을 아홉 번 계속한다. 이때 침은 체내에 흘러내려가 모든 맥(脈)을 고르게 한다. 또한, 어깨를 자주 젖혀 몸을 바로잡고 양허리를 스물네 번 마찰하면 전신이 뜨겁게 느껴질 것이다.

도인법을 실시할 때는 항상 단전에 심화가 내려갔다가 척추를 통하여 위로 올라 온다는 상념을 가지되, 숨을 멈추고 행해야 한다. 도인법을 실시하면 잡념이 없어지고 잠이 잘 오며 추위와 더위를 타지 않고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주8에서 주9에 이르는 동안 자연의 섭리에 따라 모든 일이 순조롭고, 팔괘(八卦)의 이치를 따라 모든 것이 순리대로 돌아가게 된다.

이 도인법의 실시는 갑자일 밤중인 자시에 일어나서 시작하는데, 먼저 입안의 기가 나가지 않도록 코로 조용히 숨을 쉬면서 행한다. 아울러 도인법은 자시 이후부터 오시 전에 한 번씩 행하거나 혹은 밤과 낮 각각 세 번씩 행하는데, 오래 계속하면 질병이 없어지고 몸이 가벼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도인법은 게으름을 피우지 말고 꾸준히 실행하면 곧 주10에 이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도인법의 실시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동작과 설명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도인법은 정신을 통일한 뒤, 침을 내어 삼키는 일과 허리 부위를 마찰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는 일, 그리고 굴신운동을 하여 유연성을 기르는 것 등을 그 특색으로 하고 있다. 도인법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 외에 인체의 각 조직이나 기관을 튼튼하게 양생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먼저 주11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장도인법으로서, ① 정좌한 뒤 힘주어 두 주먹을 쥐고, 아래위로 교차하여 가슴 밑에서 좌우로 왔다갔다하는 동작을 각각 6회 실시한다. ② 두 팔을 내린 자세에서 오른손으로 왼손 팔목을 잡아 누르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무거운 돌을 들어 올리는 것처럼 힘을 주는데, 이 동작을 좌우 번갈아 실시한다. ③ 두 손을 깍지 끼고 발로 손바닥을 5, 6회 밟는다. ④ 호흡을 한동안 멈추었다가 눈을 감고 세 번 침을 삼키면서 세 번 이를 마주친다. 이 동작은 가슴과 심장의 온갖 질병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둘째, 간장도인법으로서, ① 정좌하여 두 손으로 다리를 힘 있게 주무른 뒤 천천히 부드럽게 몸을 좌우로 3∼5회 흔든다. ② 두 손을 깍지 끼어 앞으로 폈다 굽혔다 하는 동작을 3∼5회 한다. 이 동작은 간장에 쌓여 있던 주12와 독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담(膽)도인법으로서, ① 평좌하여 발바닥을 맞대고 머리를 뒤로 젖히며 두 손으로 발목을 잡아 위로 올리면서 흔들어 주는 동작을 3∼5회 한다. ② 대좌(大坐)하여 손을 뒤로 짚고 엉덩이를 들어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3∼5회 실시한다. 이 동작은 담의 풍독과 사기(邪氣)를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넷째, 비장도인법으로서, ① 대좌하여 한 다리는 펴고 한 다리는 구부린 뒤 두 손을 뒤로 깍지 끼고 위로 올리기를 3∼5회 한다. ②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바닥을 짚고 엎드려 고개를 천천히 돌려 다리 쪽을 보는데, 호랑이가 돌아보듯 힘을 주어 돌린다. 이 동작은 비장에 쌓여 있던 풍과 사기를 없애고 입맛이 돌고 소화가 잘 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다섯째, 폐장도인법으로서, ①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땅바닥을 짚고 허리를 구부려 이마가 닿도록 한다. ② 일어날 때는 고개부터 든 뒤 천천히 허리를 편다. 이 동작을 3회 실시하면 폐 내에 쌓여 있던 풍과 사기가 없어져 폐가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다. ③ 주먹을 쥐어 반대편 어깨 부위의 척추 위를 좌우 번갈아 3∼5회 두드리면 가슴에 답답하게 괴어 있던 풍 · 사 · 독기를 몰아낼 수 있다. ④ 이 동작을 끝낸 다음, 정좌하여 눈을 감고 한동안 호흡을 멈추었다가 이를 3회 마주치고 침을 삼킨다.

여섯째, 신장도인법으로서, ① 정좌하여 두 손으로 양쪽 귀를 비비면서 팔꿈치로 옆구리를 3∼5회 마찰한 뒤, 두 손을 가슴에 대었다 떼었다 하면서 몸을 펴는 동작을 3∼5회 한다. ② 일어서서 한쪽 다리를 들어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 동작은 허리와 신장 · 방광을 침범한 풍 · 사를 몰아내는 데 효과가 있다. 잠자리에 들 때 침상에 앉아서 옷을 벗고 발을 뻗은 채 폐기(閉氣)하며 혀를 입천장에 대고 눈은 천장을 보며 항문을 오므린다. 손으로 신유혈(腎兪穴:허리 부위)을 각각 120회 정도 마찰하는데, 많이 할수록 좋다. ③ 이를 마주치고 눕는다. 이 동작은 신장의 허냉(虛冷)과 소변의 활수(滑數:소변 보는 횟수)를 전치(專治)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오장 일부(一腑)의 도인법을 설명한 것이다. 한편, 전체도인법의 실시방법은 먼저 ① 방안을 깨끗이 치우고 분향한 다음, 온도와 밝기와 습도를 조절한 뒤 밤중에 생기(生氣)가 돌 때나 오경(五更)에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나기 전에 뱃속에 괴어 있는 탁한 기운을 토해내는 일부터 시작한다. ② 조용히 앉아서 심호흡을 19회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5, 6회 해도 무방하다. ③ 눈을 감고 마음을 안정시킨 뒤 입을 다물고 이를 36회 마주치며 정신을 집중한다. ④ 두 손을 허리에 대고 엄지손가락으로 허리를 누르며 눈을 크게 떴다 감았다 하는 동작을 9회 한다.

⑤ 코의 옆부분을 7회 마찰하며 동시에 두 손바닥을 마찰하여 열이 나게 한 다음, 합장하듯 코와 입을 감싸 열기를 전해 준다. 얼굴을 자주 마찰하면 윤기가 나고 기가 잘 통하는데, 이 방법은 주13들이 일상생활에서 해오던 것이다. ⑥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앉아서 혀를 입천장에 대고 이리저리 굴려 양치질하듯 하면 침이 나와 괴는데, 이것을 세 모금으로 나누어 삼키면 위에서 받아들여 전신에 전달된다. 침 만들기를 세 번 해서 한 번에 세 번씩 나누어 삼키면 아홉 모금을 삼키게 되는데, 이것은 오장에 물을 대주는 결과가 되어 얼굴에 윤기가 나고 힘이 생기므로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정성껏 해야 한다.

도인법 가운데 ‘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은 병을 없애고 오래 살 수 있는 여섯 글자씩으로 된 비결로서,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마시는 호흡동작이다. 간이 허하면 눈의 정기가 흐려지며, 폐가 약해지면 숨쉬는 소리가 두 손을 마주 비빌 때 나는 소리처럼 거칠고, 심(心)이 피로하면 두 팔을 자주 쳐들고 기지개를 자주 켜게 된다. 또한 신(腎)이 피로하면 웅크리고 앉아 무릎을 감싸며, 비(脾)에 병이 나면 입이 마르고 입술이 오므라들며, 주14에 열이 있으면 누워서 앓는 소리를 잘 낸다. 그 밖에 인체의 조직이나 기관과 관련한 병리현상과 이를 치료하는 도인법의 실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의 취신기(吹腎氣)로서, 신장은 주로 물로 인해서 병이 생기는데, 병이 나면 얼굴이 검은색으로 가득차며 눈썹이 일그러지고, 귀가 울며 몸이 검게 여윈다. 이때는 ‘취’하고 사기(邪氣)를 내불어서 없애버리면 장수할 수 있다.

둘째, ‘하’의 하심기(呵心氣)로서, 심장이 번거로워 마음이 조급할 때는 오로지 ‘하’이다. 이 번거로움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정신을 지나치게 괴롭히지 말아야 한다. 심장에 병이 있으면 입과 주15에 염증이 생기고 열이 나며 아프다. 이때는 ‘하’ 소리를 계속해서 내면 편안해진다.

셋째, ‘휴’의 휴간기[噓肝氣:噓를 ‘휴’로 발음]로서, 간은 주로 안색과 심장의 기능을 도와주는 구실을 하는데, 병이 나면 신맛과 쓴맛을 좋아하게 되며 눈빛이 붉어지고 눈물이 많이 난다. 이때는 ‘휴’ 소리를 내면 병이 물러가고 정신이 편안해진다.

넷째, ‘사’의 사폐기[呬肺氣:呬자는 숨쉴 ‘희’자인데 ‘사’로 발음]로서, ‘사’를 많이 하여 침을 많이 만들고, 가슴에 번민이 있어 상초(上焦)에 가래가 생겨 폐병이 되면 급히 ‘사’ 하고 숨쉰다. 이를 매일 하면 자연히 편안해진다.

다섯째, ‘후’의 후비기[呼脾氣:呼자를 ‘후’로 발음]로서, 비장은 토(土)에 속하는 것으로 태창(太倉)이라고 한다. 병이 나면 머리가 어지럽고 설사를 하며 배에 소리가 나면서 먹은 것을 토한다. 이때는 ‘후’하여 급히 조정한 다음, 단전을 조절한다.

여섯째, ‘히’의 희삼초(嘻三焦)로서, 삼초에 병이 나면 급히 ‘히’ 한다. 옛 성현은 이 방법을 아는 사람이 가장 유능한 의원이라 하였다. 만약, 막힌 곳을 알아서 뚫어 주면 증세가 좋아질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좋아질 수 없다.

참고문헌

『동의보감』
『활인심방(活人心方)』
주석
주1

팔, 다리 따위를 굽혔다 폈다 함. 우리말샘

주2

손끝으로 누르거나 두드림. 우리말샘

주3

마음을 가라앉히고 몸을 바르게 하여 조용히 앉음. 우리말샘

주4

머리의 뒷부분. 우리말샘

주5

마음속에서 북받쳐 나는 화. 우리말샘

주6

삼단전의 하나. 도가(道家)에서 배꼽 아래를 이르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배꼽 아래 한 치 다섯 푼 되는 곳으로 여기에 힘을 주면 건강과 용기를 얻는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7

단정하게 앉음. 우리말샘

주8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9

십이시(十二時)의 일곱째 시. 오전 열한 시부터 오후 한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10

신선이 되기 위하여 닦는 도. 우리말샘

주11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의 다섯 가지 내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육음(六淫)의 하나. 바람이 병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13

도교에서, 도를 깨쳐 깊은 진리를 깨달은 사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를 통틀어 이르는 말. 상초는 가로막 위, 중초는 가로막과 배꼽 사이, 하초는 배꼽 아래의 부위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15

‘목구멍’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