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하르방

목차
관련 정보
제주 삼성혈 입구 돌하루방 정면
제주 삼성혈 입구 돌하루방 정면
민간신앙
개념
제주도에서 마을 입구에 세워 수호신 구실을 하는 장승. 석상.
내용 요약

돌하르방은 제주도에서 마을 입구에 세워 수호신 구실을 하는 장승이다. 돌하르방이란 ‘돌할아버지’라는 제주도 방언이다. 돌하르방은 머리에 둥근 감투가 씌워졌고, 눈이 부리부리하게 큰 편이며, 입은 다물었다. 한쪽 어깨를 치켜올렸고, 두 손은 배 부분에 위아래로 가지런히 모아 붙였다. 돌하르방은 본래 제주현·정의현·대정현에 세워져 성문 앞에 서서 경계 표지 및 금지의 표식 구실을 하였다. 또한 성문의 수호신으로서 성안의 안전을 지키는 종교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1971년 제주도 민속자료로 지정하였다.

목차
정의
제주도에서 마을 입구에 세워 수호신 구실을 하는 장승. 석상.
내용

‘우석목(偶石木)’·‘무석목’이라고 하며, 문헌에는 ‘옹중석(翁仲石)’이라는 명칭의 표기가 보인다. 돌하르방이란 ‘돌할아버지’라는 제주도 방언으로, 어린아이들 사이에서 부르던 명칭이었는데, 이제는 이 석상의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

돌하르방 석상은 현재 제주시내에 21기,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12기,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안성·보성리에 12기가 있고, 서울의 국립민속박물관에 2기가 있는데, 이것은 제주시의 것을 옮겨놓은 것이다.

제주시는 조선조 때 제주목(濟州牧)의 소재지였고, 성읍리는 정의현청(旌義縣廳)의 소재지였으며, 인성·안성·보성리는 대정현청(大靜縣廳)의 소재지였다. 따라서 이 석상은 제주 3현의 소재지에 세워졌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3현의 돌하르방은 그 크기나 얼굴 모습이 각각 조금씩 다르나, 공통적인 것은 머리에 둥근 감투가 씌워졌고, 눈이 부리부리하게 큰 편이며, 입은 품위 있게 다물고, 한쪽 어깨를 치켜 올려서 두 손을 배 부분에 가지런히 위아래로 모아 붙인 모습이다.

3현의 것 가운데 제주성의 것들이 키도 크고 품위와 위엄성이 있어 전체적인 조화가 이루어져 있다. 제주성의 것들이나 정의현성의 것들은 몸통 밑에 기석(基石)이 있는데, 대정현성의 것들은 기석이 없다.

제주성의 것들은 그 기석 앞면에 『형 또는 ㅁ형의 홈이 패어져 있는 것이 특색이다. 같은 현성(縣城)의 것이라도 그 키나 머리·몸통·기석 등의 크기가 각각 다른데, 그 평균치는 앞의 [표] 와 같다.

[표] 지역별 돌하르방의 크기 (단위 : ㎝)

구 분 전 체 키 머리길이 머리둘레 가슴둘레 기석높이 기석둘레
제 주 성
대정현성
정의현성
181.6
136.2
141.4
89.0
66.5
65.9
149.1
147.8
148.5
196.6
171.2
169.7
42.2
-
30.3
322.6
-
320.6

이 석상들의 제작 연대는 아직 확실하지가 않다. 김석익(金錫翼)의 『탐라기년(耽羅紀年)』에 의하면, 1754년(영조 30) 목사 김몽규가 성문 밖에 세웠다고 되어 있는데, 이 기록은 제주성의 것들을 만들어 세웠다는 것인지, 정의현성·대정현성의 것들도 이해에 같이 만들어 세웠다는 것인지 확실하지가 않다.

만일 3현의 것을 함께 만들어 세웠다는 기록이라면 같은 목사의 지시로 만들어진 3현의 것이 각각 그 형태가 다른 까닭을 설명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석상이 지금은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지만, 본래는 제주현·정의현·대정현의 성문 앞에 세워져 있었다.

성문은 동문·서문·남문이 있었고, 정의현성·대정현성의 경우는 이 3문 앞길 양쪽에 2기씩 4기를 마주보게 세웠다. 따라서 정의현성·대정현성의 경우에는 이 석상이 각각 12기씩 있는 것이다. 제주성의 경우는 이와는 조금 다르다. 3문의 앞길은 방어상 유리하게 S자형으로 되어 있다.

성문에서 약 35m 나아가면 길은 한번 오른쪽으로 굽이돌고, 다시 약 50m 나아가면 길은 다시 왼쪽으로 굽이돈다. 이 첫째 굽이의 길 양쪽에 돌하르방을 2기씩 4기를 마주보게 세우고, 다시 둘째 굽이의 길 양쪽에 같은 모양으로 4기를 세워, 도합 8기씩을 세워 놓았었다.

이 경우 유의해야 할 것은 길 한쪽의 돌하르방의 기석 앞면에는 모두 ‘ㅁ’형의 구멍이 패어져 있고, 다른 쪽 것의 기석 앞면에는 모두 ‘『’형의 홈이 패어져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마치 제주의 민가에 대문 대신 ‘정낭’이라는 나무를 가로 걸쳐놓아 출입을 금지하였듯이, 긴 나무를 가로 꿰어 걸쳤던 홈이 아니었나 추측되고 있다. 만일 그렇다면 그 나무는 출입금지의 표지였을 것이다.

대체로 돌하르방은 성문 앞에 서서 성안 관아의 위용을 보이고, 성문 앞이라는 경계표지 및 금표(禁標: 금지의 표식)로서의 구실을 하였을 뿐 아니라, 성문의 수호신으로서 성안의 안전을 지키는 종교적 기능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점은 장승의 기능과 비슷하며, 그 형태도 돌장승과 유사하다. 이런 석비형(石碑型) 장승류는 마을수호신 내지 경계표석인 입석(立石)에서 온 것으로 제주도의 그것은 조형예술성이 특이한 점이 특징이다. 현재 1971년 제주도 민속자료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제주·대정·정의주현성석상」(김영돈, 『문화인류학』 5, 1972)
「제주석상 우석목 소고」(현용준, 『제주도』 8, 1963)
집필자
현용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