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어유집 ()

목차
관련 정보
동어유집
동어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상황의 시 · 전책(殿策) · 설 · 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상황의 시 · 전책(殿策) · 설 · 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8권 10책(시집 2책 포함).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시기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은 책(策)으로 전책(殿策) 등 7편, 부(賦)로 「금상악양루(今上岳陽樓)」 등 12편, 시로 「소년행(少年行)」 등 14편, 표전(表箋)으로 「의본조금추한림걸몽방(擬本朝禁推翰林乞蒙放)」 등 30편, 변(辨)으로 「자무극이태극(自無極而太極)」 등 2편, 설로 「이갱설(二羹說)」 1편, 제(製)로 「당봉배도진국공(唐封裵度晉國公)」 1편, 명으로 「정공홀명(鄭公笏銘)」 1편, 권2·3은 소(疏)로 「진정소(陳情疏)」·「사황해감사소(辭黃海監司疏)」·「호남진폐소(湖南陳弊疏)」·「유통후사이조판서소(儒通後辭吏曹判書疏)」 등 107편이 실려 있다.

권4·5는 소차(疏箚)로 「사좌의정소(辭左議政疏)」·「사훈련도제조차(辭訓鍊都提調箚)」 등 82편, 부주(附奏)로 「육배영의정돈유부주(六拜領議政敦諭附奏)」 등 54편, 권6은 신도비명으로 「예조판서익헌이공재학신도비명(禮曹判書翼獻李公在學神道碑銘)」 등 5편, 지갈명(誌碣銘)으로 「동지중추부사윤공유묘갈명(同知中樞府事尹公揄墓碣銘)」 등 14편, 권7은 행장으로 「효명세자행장(孝明世子行狀)」 등 4편, 시장(諡狀)으로 「이조판서이공만수시장(吏曹判書李公晩秀諡狀)」 등 9편이 실려 있다.

권8은 반교문(頒敎文)으로 「혜경궁보령망구진하반교문(惠慶宮寶齡望九陳賀頒敎文)」 등 4편, 진향문(進香文)으로 「정순왕후진향문(貞純王后進香文)」 등 3편, 교서(敎書)로 「교황해감사김방행문(敎黃海監司金方行文)」 1편, 사제문(賜祭文)으로 「영의정이시수치제문(領議政李時秀致祭文)」 등 7편, 서(序)로 「대동행와서(大同行窩序)」 등 2편, 기로 「상관축성기(上關築城記)」 등 4편, 발로 「노금계주환록발(魯錦溪周還錄跋)」 등 2편, 제문으로 「제빙조송공문(祭聘祖宋公文)」 등 10편, 잡저로 「유하상영집제사(流霞觴詠集題詞)」 등 7편, 문(文)으로 「남고산성개기고유문(南固山城開基告由文)」 등 2편, 전문(箋文)으로 「대왕대비전보령회갑(大王大妃殿寶齡回甲)」 등 11편이 실려 있다. 그밖에 시집 2책에는 「갱재록(賡載錄)」·「응제록(應製錄)」·「대월(對月)」·「순조대왕만(純祖大王輓)」 등 50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문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저자가 정계에 오래 있었으므로 나랏일에 관한 시문이 많다. 산수와 정루(亭樓) 등 자연을 읊은 것도 많으며, 도중음(道中吟) 및 서로 수창(酬唱)한 것도 상당수에 이른다. 「갱재록」은 임금의 시에 화답해 지은 연구시(聯句詩)를 모은 것이고, 「응제록」은 과거시험 때 지었던 시문과 임금의 명령에 응해서 지은 시문을 모은 것이다.

책은 요(堯)·순(舜)·우(禹)·탕(湯)·문(文)·무(武)·주공(周公)의 정치제도를 거론해 임금에게 권주하는 장편의 글이며, 기의 「상관축성기」는 전주 상관 남고산(南固山)에 성을 쌓을 때의 시말을 기록한 것이다. 잡저의 책제(策題)는 사·농·공·상의 사민 중 선비를 앞세운 까닭 및 육관(六官)에 대하여 6으로 기준한 이유 등에 관한 견해를 피력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