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더지 혼인 설화 (두더지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한 두더지가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 같은 종(種)의 사위를 선택한다는 내용의 설화.
목차
정의
한 두더지가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 같은 종(種)의 사위를 선택한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형식담주1 가운데 주2에 속하며, ‘두더지사위고르기’라고도 한다.

동양권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도의 경우는 『판차탄트라(Panchatantra)』 및 『카타사리트사가라(Kathasaritsagara)』(11세기 후반) 등의 문헌에 보이고, 일본의 경우에도 『사석집(沙石集)』(1283)에 벌써 유화(類話)의 기록 예가 보이며,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약 30여 종의 이야기가 채록,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홍만종(洪萬宗)『순오지(旬五志)』(1678)의 기록이 가장 오랜 것이고, 구전 자료도 다소 채록되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한 두더지가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려고 했다. 먼저 하느님을 가장 존귀하다고 생각한 두더지가 하느님께 나아가 간청하니, 하느님은 “내가 비록 만물을 다스리고 있으나 해와 달이 없으면 내 덕을 드러낼 수가 없다.”고 했다.

이에 두더지는 해를 찾아가 간청해 보았다. 해는 “내 비록 만물을 비추나, 나를 가리는 구름은 어쩔 수 없다.”고 하며 사양하였다. 그래서 두더지는 구름을 찾아가 보았으나 구름의 대답은 “내 비록 해와 달을 가릴 수 있으나 바람이 불면 흩어질 수밖에 없으니 바람이 나보다 훌륭하다.”고 하였다.

두더지는 다시 바람을 찾아가 부탁하였다. 그러나 바람은 “내가 구름을 흩어뜨릴 수 있는 것은 사실이나, 밭 가운데 있는 돌부처는 아무리 힘을 써도 움직일 수 없으니, 돌부처가 나보다 낫다.”고 대답하였다.

두더지의 간청을 받은 돌부처는 “내 비록 바람을 꺾을 수 있다 하나, 두더지가 내 발 아래를 파헤치면 나는 넘어질 수 밖에 없다. 두더지야말로 나에게는 가장 위대하다.”고 하였다. 두더지는 비로소 자신들이 천하에서 제일 훌륭한 존재임을 깨닫고 결국 같은 두더지를 사윗감으로 정하였다.

이 유형은 각 편에 따라서는 ‘두더지’가 ‘쥐’로, ‘돌부처’가 ‘은진미륵’으로 바뀌는 세부적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이야기의 진행이 늘 고정적인 형식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형식담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이야기의 귀착점이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회귀적 진행 형식을 취하는 설화의 유형의 예는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다.

이 밖에 ‘누가 더 센가’라는 유형이 하나 더 보고되고 있을 뿐이다. 이 설화는 헛된 욕심으로 자신의 참된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고 있다. 또한 이 설화는 속담의 주3이기도 하며, 분수에 넘치는 허영심 또는 헛된 욕망에 대한 어리석음을 말할 때 '두더지 혼인같다'라고 한다.

참고문헌

『순오지(旬五志)』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민담집』(임동권, 서문당, 1972)
「한국의 형식담」(조희웅, 『한국학논총』3, 1980)
주석
주1

일정한 형식에 따라 내용이 전개되는 설화. 특정한 전통적인 형식을 따르는 유형으로 줄거리가 플롯에 비해 부차적이다. 우리말샘

주2

주인공의 유사한 행동이 여러 차례 반복되는 유형의 설화. 불운이나 행운이 차례차례 누적되는 유형도 있고, 실수나 어리석음이 거듭되는 유형도 있다. 우리말샘

주3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