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장 (매듭)

목차
관련 정보
매듭장 / 2 명주실 물들이기 / 최은순
매듭장 / 2 명주실 물들이기 / 최은순
공예
개념
명주실 올을 꼬아 합사(合絲)하고 염색하여 끈목을 친 다음 그것을 갖은 모양으로 맺거나 술을 다는 기술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목차
정의
명주실 올을 꼬아 합사(合絲)하고 염색하여 끈목을 친 다음 그것을 갖은 모양으로 맺거나 술을 다는 기술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내용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복식이나 의식용구의 장식으로 사용하는 매듭은 일명 격답(格搭)·결자(結子)라고도 하며, 외형상으로는 굵은 끈목을 치는 일, 두 가닥의 끈으로 잇대어 맺어가는 일, 그리고 적절한 술을 만들어 아래로 길게 늘어뜨리는 일 등 몇 가지 세분된 공정으로 되어 있다.

우리 나라 매듭은 삼국시대 고분벽화에 그려진 허리띠·깃발·말장식·방장장식 등을 통하여 그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일본에는 ‘고라이우치(高麗打)’·‘시라기구미(新羅組)’ 등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그 기법이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경공장으로는 상의원(尙衣院)에 다회장(多繪匠)과 매즙장(每緝匠)이 각각 배치되어 있었다. 다회는 끈목을 말하며, 동다회[圓多繪]와 납다회[廣多繪]로 구분한다.

즉 동다회는 동글게 친 끈목으로서 그 자체가 도포끈과 같은 띠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매듭 맺는 끈으로 이용된다. 실띠로 이용되는 경우는 조대(蓧帶)라 하기도 한다.

납다회는 날줄에다 씨줄로 무늬 놓아 납작하게 직조하는 까닭에 끈의 구실을 하기보다는 띠로 이용된다. 예로부터 여성은 실띠를 띠기 때문에, 위요(圍腰)라 하면 여성의 허리띠를 지칭하며, 또는 편조대(扁蓧帶)·색대자(色帶子)라 적은 예도 있다.

매듭은 처음 장엄구로 늘이는 유소(流蘇 : 기나 가마에 다는 여러 가닥의 실)에 큰 구실이 있었으나, 노리개와 같은 장신구로 소품화된 경향이 있다. 즉 기초적인 단추매듭을 비롯하여 맺는 모양에 따라 도래매듭·연봉매듭·동심결매듭·나비매듭·벌매듭·잠자리매듭·생쪽매듭·방석매듭·전복술매듭 등 다양하다. 그리고 끈이나 매듭의 하단에 다는 술에는·딸기술·실술·방울술·낙지발술·전복술·금전지술 등이 있다.

매듭장 국가무형문화재로 최은순(2009년 작고)과 김희진이 있으며, 서울에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데, 그 기능보유자는 김은영(金銀暎)이다.

참고문헌

『중요무형문화재해설(重要無形文化財解說)』 -공예기술편(工藝技術篇)-(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매듭』-매집(每緝)과 다회(多繪)-(김희진, 고려서적주식회사, 1974)
집필자
이종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