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천야록 ()

매천야록
매천야록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문인 황현이 1864년부터 1910년까지 47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한 역사서. 비사.
정의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문인 황현이 1864년부터 1910년까지 47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한 역사서. 비사.
개설

6권 7책. 고종 원년부터 동 30년까지의 기록은 1책 반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고종 31년부터 융희 4년까지 17년간의 기록이 5책 반이나 되어, 갑오경장 이후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보여진다.

내용

체재에 있어서도 1894년 이전은 들은 것을 연대순으로 수록(隨錄)하거나, 명확한 연월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건내용에 있어서도 연대순이 바뀐 것도 적지 않다. 1894년 이후는 이와는 달리 연월일 순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한말에 난정(亂政)을 주도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 · 비행이라든가, 외세의 악랄한 광란, 특히 일제의 갖은 침략상을 낱낱이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이 담겨져 있다. 그러므로 일제의 식민통치가 끝날 때까지 세상에 내놓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황현 자신도 자손에게 바깥 사람에게 보이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자손들 또한 극비에 붙이고 깊이 간직하였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

자손들은 책의 중요성에 비추어 원본 한벌만으로는 인멸할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여, 부본(副本) 몇 부를 작성하였다. 그 중 1부를 당시 상해에 있던 김택영(金澤榮)에게 보내 교정을 청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내용에 대해 전혀 어떠한 것인지 알려지지 않다가, 1939년 조선사편수회가 남원읍에 거주하는 박정식(朴政植)이 소장하고 있던 야록의 부본을 얻은 뒤 내용에 대해 극히 일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치하였기 때문에 조선사편수회에서는 발간하지 않고 극비에 붙였다. 해방이 된 뒤,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책의 사료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전라남도 구례에 있는 황현 본가의 원본과 김택영이 교정한 부본을 토대로 『한국사료총서』 제1로 간행하였다.

갑오경장 이전 기록은 들은 것을 그대로 수록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 자체가 잘못 전달되어 틀린 부분도 약간 있고 다소 과장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리고 갑오경장 이후 사실에 대해서도 편년체로 기록한 내용이라 할지라도 황현 자신이 직접 보고들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 기술된 부분도 있다.

의의와 평가

그러나 다른 기록에서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사료들이 망라되어 있어서 한말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반드시 읽어야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다. 기사 내용 중 1910년 8월 22일 합방늑약(合邦勒約)이 체결된 뒤부터 황현이 자결할 때까지의 끝부분 10여 건은 그의 문인 고용주(高墉柱)가 추기(追記)한 것이다.

참고문헌

「매천야록해설」(신석호, 『매천야록』, 1955)
「매천야록에 대하여」(이장희, 『나라사랑』 46,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