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도 ()

모란도 병풍
모란도 병풍
회화
개념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된 모란꽃을 그린 그림.
내용 요약

모란도는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된 모란꽃을 그린 그림이다. 모란은 화조화의 일부로 묘사되다가 조선 말기로 갈수록 부귀영화의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거기에 복을 비는 기복성이 더해지면서 단독으로 그려졌다. 조선 시대 궁중 의례에 모란도 병풍이 사용되었는데 국가와 왕실의 위격을 보여 주었다. 민간에서도 궁중의 모란도 병풍을 모방한 작품이 다량 제작되었다. 모란도에서 꽃은 일반적으로 정면·측면의 만개한 모습, 막 피어나는 봉오리로 묘사된다. 대표적으로 조선 후기 강세황과 심사정의 「모란도」는 발묵기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정의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된 모란꽃을 그린 그림.
개설

모란은 고대부터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되었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모란도는 삼국시대부터 그려진 것으로 보이나 현재 전하는 작품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조선 초 · 중기 다른 소재들과 함께 화조화의 일부로 묘사되던 모란은, 조선 말기로 갈수록 부귀영화의 상징성에 주1이 더해지면서 단독으로 그려졌다.

특히, 조선시대 궁중행사와 국가의례에서 모란도 병풍은 국가와 왕실의 위의를 보여 주는 그림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국상(國喪) 등의 흉례관례, 가례, 길례를 비롯하여 혼전어진 봉안처에도 배설되는 등 왕을 상징하는 자리에 널리 사용됐다. 이후 민간에서도 궁중의 모란도 병풍을 모방한 작품이 다량 제작되었다.

연원 및 변천

모란은 꽃이 크고 탐스러우면서 색이 화려하고 기품이 있어 찬탄을 받았다. 중국 주2한[^3]시대 이전에는 약재로 여겨지다가, 주4 때 관상화로 문헌에 등장하며 주5대에는 ‘국색천향(國色天香)’이라 하여 중국을 대표하는 꽃으로 자리 잡았고 부귀와 아름다운 여자를 상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선덕여왕 때, 당 태종이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란도와 씨 3되를 보내왔다는 고사가 『삼국유사』 「선덕여왕 지기삼사(善德女王知機三事)」에 전하며, 설총이 지은 「화왕계」에서는 ‘꽃 중의 왕’으로 불리며 군주로 의인화되어 나타난다.

모란도는 중국에서 당나라 때부터 그려졌는데, 크게 두 가지 흐름을 보인다. 하나는 주6지물이자 성군의 상징이라는 인식 아래, 서상화(瑞相畵)로서 왕실에서 제작된 그림이다. 중앙의 축을 따라 수직병렬식으로 전개되고 정면성과 평면성, 장식성이 강하다. 주7대 제작된 「화왕도(花王圖)」(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소장)나 서희(徐熙)가 그렸다고 전하는 「옥당부귀도(玉堂富貴圖)」(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소장)이 이에 해당한다. 고려시대의 모란도는 전하는 것이 없으나, 모란을 성덕의 상징으로 여겼음이 『고려사절요』 등의 문헌기록에 나타난다. 또 이러한 전통이 조선시대 궁중행사 및 국가의례에서 모란도 병풍이 두루 사용된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화조화로서 모란도는 송대 주돈이(周敦頤)가 「애련설(愛蓮說)」에서 ‘모란은 부귀’에 해당한다고 정의하면서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꽃 그림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모란은 주8, 고려대에 이미 도자 · 복식 · 건축 · 공예 등의 주요 의장문양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북송 이후에는 화조화의 발전과 함께 사실주의에 기반을 둔 모란도가 출현하였으며 주9 · 주10대에 양식화를 거치며 기복성이 더해졌다. 처음에는 채색화로 그려졌으나 11세기 말 이후 수묵기법의 모란도가 출현하면서 수묵화와 채색화로 모두 그려졌다.

조선시대 모란도
  1. 화조화로서의 모란도

모란도는 단독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바위와 나무, 새 또는 나비 등의 곤충, 사군자류의 식물과 함께 그려졌다. 조선 전기의 단독 모란도는 전하는 것이 거의 없으며 작약, 동백 등과 함께 화조화를 구성하는 주12의 하나로 그려졌다. 그러나 후기로 갈수록 모란의 비중이 커지고 단독 화제로 발전하였다. 특히 18세기의 모란도는 주13 효과를 이용하여 모란꽃의 풍성함을 강조하면서도 사의성이 짙다. 강세황(姜世晃), 심사정(沈師正), 최북(崔北) 등이 몰골법을 이용하여 주11 형태의 모란도를 그린 예가 많고 화가에 따라 채색을 사용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남종화풍의 수용 및 명 · 청대 화보의 유입, 화훼에 대한 높은 관심, 화훼 완상 및 정원 문화의 보급 등과 관련이 깊다.

19세기에는 남계우(南啓宇)가 공필진채로 모란을 그렸고, 전기(田琦) · 허련(許鍊) · 김수철(金秀哲) 등의 중인 직업화가들은 사의성이 강하면서도 개성적인 화풍을 보여 주었다. 이 시기의 모란도는 다양한 채색을 사용하면서도 사실적이기보다는 추상적이고 현대적인 구도를 취한다. 또한 장수를 상징하는 괴석이 함께 배치되었으며 제화시에서도 모란이 갖는 길상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커진다.

  1. 궁중회화로서의 모란도

조선시대 궁중행사에서 모란도 병풍을 사용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1627년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에서 보인다. 현재 전하는 궁중 소용의 모란도 병풍은 대부분 19세기 이후 제작된 것이다. 4폭 · 6폭 · 8폭 · 10폭 병풍 형태로 전하며, 크기는 병풍 높이가 250㎝에서 330㎝에 달하는 것과 200㎝ 이하의 것이 있다.

도상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모란나무가 전체 화면에 걸쳐 연결되는 왜장(倭裝)병풍 형식이며, 다른 하나는 둔덕 위에 수직으로 뻗은 모란이 개별 폭마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형식이다. 현재 전하는 대부분의 모란도 병풍이 이에 해당하며 모란꽃의 도상이 반복적이고 도식적이며 평면성이 강하다. 하단에 괴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뉜다.

민간에서도 두 번째 유형의 모란도 병풍을 모방한 작품들이 다량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란꽃은 정면의 만개한 모습, 측면의 만개한 모습, 막 피어나기 시작한 모습과 봉오리로 묘사되며 짙은 홍색과 옅은 홍색, 짙은 청색과 옅은 청색, 황색, 백색으로 채색되었다.

현황

조선 후기 단독으로 그려진 모란도로는 발묵기법이 돋보이는 강세황의 『표암첩』 중 「모란도」 , 심사정의 『제가화첩』 중 산뜻하게 채색한 「모란도」 (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허련의 「묵모란」 (6폭 병풍, 홍익대학교 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된 모란도 병풍은 국립고궁박물관 등에 다수가 남아 있다. 개별 화폭에 수직으로 뻗은 모란나무를 묘사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모란도」(10폭 병풍)는 물가 언덕 위에 바위 혹은 괴석과 어우러진 모란나무를 왜장병풍 형식으로 묘사했는데,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묘사가 엿보여 형식화되기 이전의 작품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모란은 고대부터 동아시아에서 화조화로 애호되던 화제이다. 특히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된 모란도 병풍은 고대 중국의 서상도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모란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독자적인 시각양식을 발전시켜 왕실과 국가의 위격을 드러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조선 궁궐의 그림』(박정혜 외, 돌베개, 2012)
「19세기 조선 사의화훼화의 양상: 연화도와 모란도를 중심으로」(강지원, 『미술사학』 31, 201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모란도〉 10폭 병풍 연구」(이혜경, 『미술사연구』 26, 2012)
「조선시대 ‘궁모란병’ 연구」(김홍남, 『미술사논단』 9, 1999)
주석
주1

복을 비는 성질. 우리말샘

주2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 춘추 전국 시대, 지금의 간쑤(甘肅) 지방에서 일어나 기원전 221년 시황제가 주나라 및 육국(六國)을 멸망시키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였는데 기원전 207년 한나라 고조에게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중국에서 역대로 존재하였던 전한, 후한, 촉한, 성한, 북한, 남한 따위를 두루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중국에서,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양쯔강(揚子江) 남쪽에 있었던 여섯 왕조. 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5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6

상서로운 조짐. 우리말샘

주7

중국의 송나라가 1127년 금나라에 밀려 남쪽으로 내려가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때부터 1279년 원나라에 망할 때까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중국에서, 960년에 조광윤이 카이펑(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127년에 금(金)의 침입을 받아 정강의 변으로 서울을 강남(江南)의 임안(臨安)으로 옮길 때까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9

1368년에 주원장이 강남(江南)에서 일어나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중국의 통일 왕조. 영락제 때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기고 몽고와 남해에 원정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뒤에 북로남왜에 시달리고 환관의 전횡과 당쟁, 농민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 1644년에 이자성(李自成)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0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1

나뭇가지를 꺾음. 또는 그 나뭇가지. 우리말샘

주12

옥같이 고운 풀에 핀 구슬같이 아름다운 꽃. 우리말샘

주13

글씨나 그림에서, 먹물이 번져 퍼지는 일. 또는 그렇게 하는 기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