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 ()

목차
관련 정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단오풍정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단오풍정
의생활
개념
신체를 물로 청결하게 하는 위생활동.
목차
정의
신체를 물로 청결하게 하는 위생활동.
내용

우리나라 사람들은 목욕을 청결 수단 외 미용 · 건강 · 질병 치료 혹은 의식(儀式)의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문헌에 기록된 최고(最古)의 목욕은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와 그의 왕비인 알영에서 비롯된다. 즉, 박혁거세는 뭇 사람들이 놀랄 만큼 아름다운 남자였는데 동천(東泉)에서 목욕시키자 몸에서 광채가 났다고 한다. 알영은 몸매와 얼굴이 남달리 아름다웠으나 입술이 닭의 벼슬과 같은 결점이 있어서 북천(北川)에 데려가 목욕시켰다. 그러자 완벽한 미인이 되었다고 한다.

이들의 목욕을 미용 수단으로 보든지, 왕 · 왕비의 의식수단으로 보든지 간에 2,000여 년 전 우리나라에서는 목욕이 중시되었음을 시사해준다. 그러니까 신라에서는 일찍이 목욕을 미용 혹은 청결, 의식수단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때 주1를 계율로 삼는 불교가 전래됨으로써 신라인들은 목욕을 더 자주 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절에는 대형 공중목욕탕이 설치되고 가정에도 목욕시설이 마련되었다.

신라의 관헌인 익선득오를 데려다가 일을 시킨 뒤 돌려보내지 않으므로 죽지랑이 익선을 벌주고자 하였다. 이때 익선이 도망하자 그 대신에 익선의 아들을 붙잡아 강제로 목욕시킴으로써 형벌에 대신한 일이 있다. 이것은 신라인들이 신체를 청결하게 함으로써 마음이 깨끗해진다고 믿었음을 보여준다.

고려인들은 신라인들보다 목욕을 더 자주 하는 동시에 사치스러운 목욕을 하였다. 주2『고려도경(高麗圖經)』에 기록된 바, 고려인들은 하루에 서너 차례 목욕하였으며, 개성의 큰 내에서는 남녀가 한데 어울려 목욕하였다고 한다. 한편, 상류 사회에서는 어린애의 피부를 희게 하기 위하여 복숭아 꽃물로 세수시키거나 목욕시켰다. 어른은 여자는 물론 남자도 난탕(蘭湯 : 난초 삶은 물)에 목욕함으로써 피부를 희고 부드럽게 하는 동시에 몸에서 향내가 나도록 하였다.

청결 관념의 확산으로 조선시대 역시 목욕이 중시되고 대중화하였다. 엄격한 도덕률 아래에서도 신라시대에 비롯된 유두(流頭) 민속을 지켜, 음력 6월 보름날이 되면 계곡과 냇가에 가서 목욕하고 물맞이를 하였다. 또한, 제례(祭禮) 전에 반드시 목욕재계해야 하는 관습과 백색피부 호상(好尙)으로 인하여 목욕이 성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가에서는 목욕시설인 정방(淨房)을 집안에 설치하였으며, 조두를 만들어 저장하고, 특히 혼례를 앞둔 주3는 살갗을 희게 하기 위한 목욕을 하였다. 난탕을 비롯하여 인삼잎을 달인 삼탕(蔘湯), 창포잎을 삶은 창포탕, 복숭아잎탕, 마늘탕, 쌀겨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는 노출을 꺼리는 생활관습으로 인하여 벌거숭이 상태로 목욕하지 않고, 옷을 입은 채로 신체의 부분 부분을 씻어나갔다. 이 때문에 대형의 욕조가 불필요해진 대신 대형 함지박과 주4가 다수 제조되었다. 한편, 조선시대는 질병치료를 위한 온천 목욕 및 한증도 성행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고려도경』
『멋 5000년』(전완길, 교문사, 1980)
『한국화장문화사』(전완길, 열화당, 1987)
주석
주1

제사나 기원하는 일에 앞서서 부정을 타지 않도록 몸을 깨끗이 씻고 몸가짐을 다듬는 일. 우리말샘

주2

중국 송나라 때의 문신(?~?). 고려 인종 1년(1123)에 고려에 사신으로 다녀간 후 ≪고려도경≫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나라에 알렸다. 우리말샘

주3

남의 집 처녀를 정중하게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물을 담아서 무엇을 씻을 때 쓰는 둥글넓적한 그릇.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전완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