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수 ()

목차
의생활
물품
고려시대 부녀자들이 외출할 때 쓰던 쓰개.
목차
정의
고려시대 부녀자들이 외출할 때 쓰던 쓰개.
내용

몽수는 오호(五胡)의 서역 부녀자들의 두식(頭飾)으로 중국 수나라·당나라를 거쳐 고려에 들어왔다고 한다. 당나라에서는 이를 멱리(羃䍦)·유모(帷帽)·개두(蓋頭)라고 하였고, 고려에서는 몽두(蒙頭) 또는 개두라 하여 부인들이 나들이할 때 검은 나(羅)로 만들어서 썼다.

그런데 고려는 일찍이 해상무역이 번성하여 서역의 사라센과도 교역이 있었고, 사라센인들은 고려에 와서 벼슬도 하고 장사도 하면서 서역의 많은 문화를 들여와 고려의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하니, 이 사라센 여인들이 내외를 하기 위하여 머리를 덮고 눈만 내놓던 풍습을 직접 받아들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몽수는 세폭에 길이가 여덟자나 되는 것으로 이마에서부터 머리를 내려덮고 면목(面目)만을 나타내었으며, 그 나머지는 땅에 끌게 하였고, 그 값은 금 한근과 맞먹었다고 한다. 몽수는 너울의 기원이 되는 것으로, 조선시대에 들어와 짧게 되었고, 원립(圓笠)이 들어와 이것이 다시 나화립(羅火笠)·넓은립[廣笠]·너울로 된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증보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9)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