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영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의 군영(軍營).
이칭
이칭
무위소(武衛所)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군영(軍營).
내용

1881년(고종 18) 11월 종래의 5군영(五軍營)을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용호영(龍虎營)·호위청(扈衛廳)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였다. 편제는 전통적인 것을 답습하여 대장 밑에 중군(中軍)이 있으며 중군 밑에 좌별군(左別軍)·우별군이 있어 이들이 그 밑에 각 초관(哨官)을 통솔하는 방식이었다.

단지 종래의 낭청(郎廳)을 군색(軍色)으로, 종사관(從事官)을 향색(餉色)으로 부르고, 좌별장(左別將)·우별장을 각각 금군별장(禁軍別將)·선기별장(善騎別將)으로 명칭을 바꾼 것이 달라졌을 뿐이었다. 무위영은 명칭이나 구성으로 보아 1874년 4월에 설치된 바 있는 무위소(武衛所)의 연장으로, 왕궁을 지키는 친군 내지는 근위군적인 것이었다. 1882년 흥선대원군에 의하여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한국군제사(韓國軍制史)-근세조선후기편(近世朝鮮後期篇)-』(육군본부, 1977)
『고종시대사(高宗時代史)』 1·2(국사편찬위원회, 1970)
집필자
김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