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한성부판윤,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열(景說)
관물재(觀物齋), 호학재(好學齋)
시호
문경(文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04년(연산군 10)
사망 연도
1568년(선조 1)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홍문관저작|한성부판윤|이조판서|우의정
정의
조선 전기에, 한성부판윤,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경열(景說), 호는 관물재(觀物齋)·호학재(好學齋). 할아버지는 형조참의 민효손(閔孝孫)이고, 아버지는 현령 민세류(閔世瑠)이며, 어머니는 장령 이인석(李仁錫)의 딸이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31년(중종 26) 생원시에 합격하고 1539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을 거쳐 이듬해 홍문관저작이 되었다. 그리고 춘추관편수관 겸 군기시첨정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부교리·검상(檢詳)·사인(舍人)이 되어 권신 이기(李芑)·정순붕(鄭順朋) 등의 전횡을 논척하였다. 다음 해 부장령·홍문관부교리·시독관(侍讀官)이 되어 나라의 인재 등용문인 과거 시험에서 시관의 채점량이 너무 많음을 지적, 올바른 인재 등용을 위해서는 시관의 수를 증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뒤 홍문관응교·사도시첨정(司䆃寺僉正)·군기시정(軍器寺正)을 역임하고, 1548년 어사가 되어 경상도 지방의 수령을 규찰하였다. 특히 상주 지방의 가혹한 군포 징수를 시정하였다. 1549년 홍문관직제학·동부승지·우부승지·좌부승지·공조참의를 지내고 대사성이 되었다.

1552년 동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공조참판·대사간·용양위대호군(龍驤衛大護軍)·대사헌·대사성을 역임하였다. 1561년 청홍도관찰사(淸洪道觀察使)가 되었으며, 1563년 권신 이량(李樑)의 일당을 탄핵하는 데 앞장섰다. 같은 해 예조참판·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한성부판윤을 거쳐 1566년 이조판서로 재상의 자리에 올랐다.

이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우참찬을 거쳐, 1567년(선조 즉위년) 우의정에 올라 척신인 윤원형(尹元衡)·이량의 여당을 다스리다가 재직 중 죽었다.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다. 저서로는 『석담야사(石潭野史)』·『대학도(大學圖)』가 있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해동명신전(海東名臣傳)』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잠곡유고(潛谷遺稿)』
집필자
박천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