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자주연맹 ()

정치
단체
1947년 여러 정치단체가 합동하여 광복 후의 혼란기에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하여 발족시켰던 중도적 정치조직.
정의
1947년 여러 정치단체가 합동하여 광복 후의 혼란기에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하여 발족시켰던 중도적 정치조직.
연원 및 변천

1946년 5월 8일의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좌우합작운동의 부진, 1947년 7월 19일 여운형(呂運亨)의 피살 등은 중간파세력의 행동통일을 확대, 강화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하였다.

이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1947년 12월 20일 김규식(金奎植)을 위원장으로 하여 발족한 민족자주연맹은 ‘조선을 민주주의화할 뿐만 아니라 또한 민주주의를 조선화하여야 할 것’을 내세우고, ‘민주주의 민족통일’을 지향하는 조직체로 발족되었다.

좌우 어느 쪽으로의 편향을 배제하고, 미소공동위원회 대책협의회·민주주의독립전선·시국대책협의회·좌우합작위원회 등이 발전적 해체를 전제로 하여 18개 정당과 5개 단체 대표 및 개인들이 참여하여, 1947년 10월 6일 결성준비위원회를 중앙청 제1회의실에서 열었다.

결성준비위원회는 10월 8일 제2차 준비위원회에서 위원장에 김규식, 정치위원회 위원장에 홍명희(洪命憙), 위원으로는 안재홍(安在鴻)·김명준(金明濬)·김호(金乎)를 위촉하고, 부서로서는 총무국·조직국·전선국·비서처를 두기로 하고, 재무위원회 위원장 김시현(金始顯) 외 위원 7명 등을 선출하였다.

결성식은 천도교 강당에서 개최되었는데, 중앙과 지방의 대의원 800여 명이 참석하였고, 선언·강령·당면정책 및 규약 등을 채택하였다.

설립목적

이 단체의 강령은, ① 우리는 새로운 민주주의 독립국가의 건국대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전민족의 정신단결을 기함, ② 우리는 전민족이 평화 속에서 정치·경제·문화·사회적으로 평등한 권리와 자유와 행복을 얻기 위하여, 현재의 모든 애국적인 각계 각층의 그 부동(不同)한 요구를 민주주의적으로 조화, 통일하여 그 공통한 요구로 강력히 실천하기로 함.

③ 우리는 일체의 사대주의타성을 청소하고 민족적 자부심과 국가적 자주의식을 고취하여 자력 건설에 노력함, ④ 우리는 동포 상호간의 친화정신을 발휘하며 일체의 종파적 아집과 독선적 태도를 버리고, 무의미한 동족상잔의 행동을 근절하기에 노력함, ⑤ 우리는 민족자주·평등의 원칙하에서 연합국에 대한 친선정책을 취하기로 함 등이다.

참고문헌

『김규식의 사론』(이정식, 신구문화사, 1974)
『해방삼십년사』 Ⅰ(송남헌, 성문각, 1976)
『한국근대인물백인선』(신동아, 동아일보사, 1970.1.)
집필자
이정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