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물품
바느질하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만든 기구.
목차
정의
바느질하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만든 기구.
내용

머리에는 실을 꿰는 구멍이 있다. 인류 최초의 바늘은 석기시대 유물로 전해지는 골침(骨針)인데, 이것은 어류의 뼈 중 가는 것을 골라 골절(骨節)에 구멍을 뚫은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바늘은 신라 분황사(芬皇寺)의 석탑에서 나온 금·은제 바늘이다. 또, 고려 말이나 조선 초기의 것으로 보이는 2개의 바늘이 침통과 함께 출토되었는데, 바늘의 끝이 갑자기 가늘어지지 않고 자연적으로 뾰족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바늘은 굵기와 길이에 따라 용도가 달라 6∼7㎝의 바늘은 이불용으로, 중간 크기의 바늘은 바느질용으로, 3㎝ 정도의 짧고 가는 것은 수를 놓거나 버선을 감치는 데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의하면 당시 우리나라의 바늘은 중국에서 수입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하였다고만은 볼 수 없을 것이다.

현대의 바늘은 굵기와 길이에 따라 1호에서 12호까지 있는데, 호수가 적을 수록 굵고 길다. 보통 바느질용으로는 6∼9호를 쓴다. 재봉틀용 바늘은 뾰족한 끝에 실을 끼우는 구멍이 있으며 굵기에 따라 8호에서부터 24호까지 있는데, 8호가 제일 가늘고 호수가 클수록 굵다. 굵은 바늘은 두꺼운 천을 재봉할 때 사용하며 일반 가정용 재봉틀에는 11∼14호를 주로 쓴다. 바늘은 24개를 종이로 납작하게 싸서 파는데, 이를 한 쌈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針の硏究』(渡邊滋, 東京裁縫女學校出版部, 1921)
「우리나라의 바느질도구소고」(홍성덕,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