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학문이 넓고 의술에도 뛰어나 조정에 불러졌지만 나아가지 않았으며, 사후에 사헌부지평으로 증직된 학자.
이칭
약기(躍起)
일재(逸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함양(咸陽)
주요 관직
사헌부지평
정의
조선 후기에, 학문이 넓고 의술에도 뛰어나 조정에 불러졌지만 나아가지 않았으며, 사후에 사헌부지평으로 증직된 학자.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약기(躍起), 호는 일재(逸齋). 아버지는 인조 때의 산림(山林: 재야에서 학식이 뛰어나 학계나 정계를 아우르는 우두머리) 박지계(朴知誡)이며, 어머니는 이유간(李惟侃)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효성과 학문이 뛰어나 효종이 세마(洗馬)·주부(主簿)·좌랑의 직으로 불렀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으며, 평상복으로 경연에 참가하여 세상의 경탄을 샀다.

성리학 일변도로 흐르지 않았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학문이 넓었으며, 의학에까지 밝아 1659년(현종 즉위년)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에 의해 궁중 의약(議藥)에 참여시키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나 지방에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참여가 허락되지 않았다. 죽은 뒤 경연관의 청으로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증직하였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아산읍지(牙山邑誌)』
집필자
오수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