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성천부사, 춘천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신(汝臣)
시호
충익(忠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0년(영조 36)
사망 연도
1808년(순조 8)
본관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주요 관직
형조참판|성천부사|춘천부사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성천부사, 춘천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신(汝臣). 아버지는 판돈녕부사 박준원(朴準源)이며, 어머니는 증 이조참판 원경유(元景游)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7년(정조 11) 누이가 수빈(綏嬪: 순조의 생모)이 되자 음보(蔭補)로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에 등용되고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의빈부(儀賓府)와 충훈부(忠勳府)의 도사(都事)를 역임하였다. 1789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정조의 아들이 태어나자 임금의 명에 따라 궁중에서 보육의 책임을 맡았다.

1800년 정조가 죽고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수렴청정을 할 때, 왕의 몸을 보호하는 가까운 친척이 측근에 있어야 한다고 해 임금의 외숙으로서 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고, 임금이 천연두를 앓을 때 입직한 공로로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1803년 형조참판을 거쳐 성천부사(成川府使)·춘천부사(春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1806년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사도시제조(司䆃寺提調)가 되었다. 이 때 대신들의 천거로 호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음관(蔭官)이 단천(單薦)으로 호조판서가 된 것은 유례가 없다.”고 세 차례나 상소해 사양하였다.

비변사당상으로 바꿔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정조로부터 “비록 음관으로 벼슬에 올랐지만 풍도(風度: 풍채와 태도)는 문신과 같으니 후일 마땅히 재상이 될 것이다.”라는 평을 받았다. 여러 번 과거에 떨어졌으나 태연하였다.

초년에 빈한하게 살았기 때문에, 높은 관직에 올라 녹봉이 많아지자 즐겨 남을 도와주었으며, 서예에도 재능이 있었다. 뒤에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운석유고(雲石遺稿)』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
집필자
원유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