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타령 (박)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작품의 하나.
이칭
이칭
박흥보가(朴興甫歌)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작품의 하나.
내용

필사된 이본 중에는 ‘박타령’이란 제목 외에 ‘박흥보가(朴興甫歌)’라는 표제를 달고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제목의 상이(相異)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동일하다. 간혹 미세한 자구의 차이만 보일 뿐이다.

「박타령」은 판소리로 불리는 작품 중에서 판소리 창자가 향유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작품인 「흥보가」의 성격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재효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사설에는 상층 문화를 지향하는 성격과 하층 문화로 복귀하는 성격의 이중성이 드러나고 있는데, 「박타령」은 하층문화로 복귀하는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놀부의 악을 징벌하기 위해서 놀부 박에 등장하는 인물의 언동은 매우 저속하지만 발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또 흥부라는 인물을 형상화함에 있어서도, 그의 아내를 학대하는 일면을 설정함으로써 훨씬 현실적인 인물로 재창조하였다.

이것은 판소리를 공연한 주체들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신재효의 문화의식의 한 단면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는 「남창 춘향가」「토별가」에서 양반 사대부들의 문화를 긍정하는 그의 태도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박타령」에도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전반적인 성격의 하나인, 독서물로 전환시키는 기록문학적 성격이 드러나고 있다. 이 점은 신재효의 「박타령」 일부를 수용한 판소리 창본에서 소리하기에 적합하도록 문장의 길이와 짜임이 재편성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이 작품의 상당한 부분이 이날치(李捺致)의 창본에 수용되어 김제 지방의 김이수(金二洙)라는 창자에게 전승되었다. 또 이날치와 주1 간이었던 김창환(金昌煥)에게도 일부 수용되었고, 김정문(金正文)에게도 일부 수용되었다.

성두본(星斗本)을 영인한 자료와 주석을 달고 이본 간의 차이를 표시한 자료가 출판되었다.

참고문헌

『창악대강』(박헌봉, 국악예술학교출판부, 1966)
「흥보가에 있어서 박사설의 생성과 그 기능」(서종문, 『백영정병욱선생 환갑기념논문집』, 1982)
「판소리 흥보가의 연구」(홍현식, 『전북대학교 문리대논문집』, 1974)
주석
주1

이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