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앗간 (방앗)

목차
관련 정보
방앗간
방앗간
주생활
개념
곡식을 찧거나 빻기 위하여 방아를 설치한 건물.
목차
정의
곡식을 찧거나 빻기 위하여 방아를 설치한 건물.
내용

방아는 어떻게 작동시키냐에 따라 디딜방아·퉁방아·물레방아·연자방아로 크게 나눈다. 즉 디딜방아는 사람의 힘으로, 연자방아는 짐승의 힘으로, 퉁방아와 물레방아는 물의 힘으로 다루게 되어 있으므로 그 기능에 따라 방앗간도 달리 짓는다. 디딜방아는 사람이 딛고 올라설 노둣돌과 붙잡을 횃대와 방아채·확이 설비된다.

디딜방앗간은 곳간이나 뒤주가 있는 부근의 헛간 한칸을 빌려 설치하는 수가 많다. 앞쪽의 벽은 트여져 있고 3면의 담벼락은 막힌 형태로 앞면의 트인 벽 쪽에 방아채의 뒷부분이 위치한다. 방아채의 뒷부분은 제비꼬리처럼 두 가닥으로 갈라져서 두 사람이 동시에 디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두 사람이 채를 디뎌 공이를 떨구면 한 사람이 확 가장자리에 앉아 닥달하는 곡식을 까불러준다. 퉁방아는 산골짜기를 흐르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방아를 찧으므로 산곡(山谷)에 설치된다. 그 구조는 앞머리는 공이로 되어 있고, 뒷부분은 물 담는 구이통으로 굴대에 걸려 있다.

귓대를 통하여 들어온 물이 구이통에 가득 차게 되면 무게를 못 이겨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내려오는 힘에 의하여 서슬에 담겼던 물이 쏟아지면 공이 쪽의 무게로 꽁무니가 들리면서 확을 내려치게 된다. 이것은 이따금씩 작동되어 곡식을 다 찧으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보통 곡식을 담아두고는 딴 볼일을 본다.

그러자니 비가 쏟아지는 경우도 있고 해서 오가리같이 생긴 고깔형의 가가(假家)를 지어 확의 부분만을 가리도록 하였다. 따라서 퉁방아는 채의 머리만 가가 쪽에 디민 채로 작동을 계속하는 형상이 된다. 물레방아는 귓대에서 쏟아지는 물줄기가 수차를 돌리면, 수차에 연결된 굴대가 따라 돌면서 방아채의 뒷부분을 팔랑개비로 누르는 것으로 그 원리는 디딜방아와 같다.

그러나 물의 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방앗간은 집밖에 설치된다. 물레방앗간은 네 벽을 다 막는 것이 보통이며 널빤지로 판벽을 하는 일이 흔한데, 이는 튀는 물에 잘 견디라는 배려에서이다. 천장은 연등이며, 지붕에는 이엉·새·굴피·너와를 이는 것이 보통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집필자
신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