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사 ()

목차
관련 정보
백제사
백제사
불교
유적
일본 시가현[滋賀縣] 히가시오미시[東近江市] 햐쿠사이지초[百済寺町] 석가산[釋迦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인들에 의해 창건된 사찰.
목차
정의
일본 시가현[滋賀縣] 히가시오미시[東近江市] 햐쿠사이지초[百済寺町] 석가산[釋迦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인들에 의해 창건된 사찰.
내용

사전(寺傳)에 의하면, 이 절은 스이코왕[推古王]의 원에 따라 쇼토쿠태자[聖德太子]와 함께 백제에서 건너간 혜총(惠聰)·도흔(道欣)·관륵(觀勒) 등이 중심이 되어 백제의 용운사(龍雲寺)를 모방하여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담해온고록(淡海溫故錄)』에는 665년 백제의 왕자가 일본에 갔을 때 수행원들과 함께 이곳에 거처하도록 했다고 하여 절의 이름이 백제사로 불리게 되었다고 하였다.

창건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태자전고금목록초(太子傳古今目錄抄)』에도 이 사찰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발음하여 구다라사(俱多羅寺)라고 하였음을 찾아볼 수가 있고, 또 일련의 태자전(太子傳)의 주석서인 『법공초(法空抄)』·『중회초(重懷抄)』·『송예초(松譽抄)』 등에서는 이 절을 쇼토쿠태자가 창건한 46원(院) 중의 하나로 꼽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사찰의 창건은 아스카시대[飛鳥時代]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일본 천태종(天台宗)의 개조(開祖)인 최증(最證)이 이 사찰을 중흥시켰을 때에는 칠당가람(七堂伽藍)이었고, 600여 승방(僧房)을 갖춘 대찰로서 승려들도 무려 1,0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1498년·1503년·1577년 등 세 차례의 화재로 말미암아 건물과 보물은 거의 소실되고 말았으나, 다행히 현재 본존으로서 봉안되어 있는 십일면관음보살상은 피해를 입지 않고 오늘날까지 보존되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불상으로는 금동의 미륵반가사유상이 있는데, 이 불상은 교토[京都]의 고류사[廣隆寺]에 봉안되어 있는 미륵반가사유상과 동일한 형태의 것이다. 백제의 불상과 동일한 형태의 불상이 이 절에 안치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 사찰이 백제인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신앙화되고 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일대에 정착하여 번창했던 신라 계통의 하타씨족[秦氏族]과도 이 사찰은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이곳에 거주한 하타씨족은 에치하타씨[依智秦氏]라 하였고, 이곳을 에치군[愛知郡]이라 하였던 것도 바로 하타씨족의 그 에치[依智]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백제 계통의 이주민들은 백제가 신라로부터 멸망당한 뒤 이 지역으로 대거 유입하여 정착하였다.

그 예로서 이들의 지도자였던 귀실집사(鬼室集斯)의 묘가 이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오노[小野]라는 지역에 있다. 이 사찰이 신라와 백제 계통의 씨족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음은 분명하다. 현재 이 절에는 에도시대[江戶時代]에 건립된 본당을 비롯하여 적문(赤門)·극락교(極樂橋)·본방(本坊)·인왕문(仁王門) 등의 건물이 있다.

참고문헌

『日本の中の朝鮮文化』(金達壽, 講談社, 1983)
『歸化人の社寺』(今井啓一, 綜藝舍, 197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노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