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덕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소속된 종3품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1392년(태조 1)
소속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내용 요약

보덕(輔德)은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소속된 종3품 관직이다.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었으며, 정원은 2명이었다. 세종 대에 1명으로 인원이 축소되었다가 선조 대 이후 겸보덕(兼輔德)이 1명 증치되었다. 1784년(정조 8)에 정3품 당상관으로 승급되었다. 세자시강원의 녹관(祿官)으로 시강원의 상번(上番)이었고, 실무를 총괄하였다. 서연을 담당하여 세자의 교육을 책임지는 역할을 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소속된 종3품 관직.
설치 목적 및 변천

조선시대에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자시강원의 종3품 관직이다. 보덕 이하가 시강원의 실무를 담당하는 녹관(祿官)이었기 때문에 세자시강원이 종3품 아문이 되는 것이다. 태조는 조선 건국 직후 관제를 새로 정하면서 세자 관속(世子官屬)을 정하였다. 세자 관속의 임무는 세자의 교육, 곧 서연(書筵)을 전담하게 하는 것이었다. 보덕은 이때 좌보덕(左輔德) 1명, 우보덕(右輔德) 1명 등 모두 2명으로 구성된 종3품 관직으로 설치되었다.

세종 대에는 겸직이 아닌 실직(實職)으로 세자 관속을 임명하였다가 집현전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면서 집현전 학사에게 서연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러나 1456년(세조 2) 집현전 학사들이 대거 포함된 일명 ‘ 사육신 사건’을 계기로 집현전이 혁파되었고, 이후 세자시강원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세자시강원은 주1이라고도 하며, 관서로서 설치된 것은 1466년(세조 12)경이었다. 그런데 이토록 주2 관원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보덕은 좌우 보덕 2명에서 보덕 1명으로 관직이 일원화 되었고, 인원도 축소되었다. 이는 보덕 이하 필선(弼善) · 문학(文學) · 사서(司書) · 설서(說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었으며, 이대로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법제화되었다.

보덕은 선조 대 이후 겸보덕(兼輔德)이라는 새로운 겸직이 1명 증치되어 『속대전(續大典)』에 법제화되었다. 이때에는 보덕 이하 설서까지 모두 겸직이 설치되어 인원이 늘어났으며, 산림직으로 시강원에 찬선(贊善) · 진선(進善) · 자의(諮議)가 설치되었다. 이는 곧 시강원 규모가 증가한 것이었다. 아울러 『속대전』에는 시강원이 정3품 아문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산림직으로 설치한 찬선이 정3품 당상관이었기 때문에 시강원의 아문이 승급된 것이다. 이는 세자시강원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보덕은 1784년(정조 8)에 정3품 당상관으로 승급되었다. 이때 겸보덕도 역시 정3품 당상관으로 승급되었다. 그리고 홍문관 직제학(直提學)부터 부응교(副應敎)까지 겸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조는 문효세자(文孝世子)가 탄생한 후 세자 책봉에 즈음하여 시강원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하였고, 정3품 당상관인 보덕이 시강원의 업무를 실질적으로 주관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세자시강원 보덕은 이처럼 태조 대 2명에서 세조 대 1명으로 인원이 축소되었다가 『속대전(續大典)』에는 정3품아문으로 승급되었으며, 겸보덕이 증치되었다. 그리고 『대전통편(大典通編)』아는 보덕의 관품이 정3품 당상관으로 승급하여 법제화 되었다.

임무와 직능

보덕의 임무는 시강원의 실무를 총괄하는 것이었으며, 서연을 담당하여 세자 교육을 책임지는 것이었다. 보덕은 시강원의 상번(上番)을 담당하였다. 보덕 이하 시강원 실무 관료들은 상번 6명, 하번(下番) 4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보덕부터 정5품 겸문학까지 상번이었고, 정6품 사서부터 정7품 겸설서까지 하번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상 · 하번 교대로 입직하였기 때문에 그날 열리는 주3와 다음날의 주강 · 석강을 담당하였다. 이와 같이 보덕은 시강원 실직 중 가장 고위직으로 실질적으로 세자의 교육을 담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의의 및 평가

세자시강원 보덕은 그 관품과 인원에 변화가 있어 왔고, 종3품관에서 정3품 당상관으로 승급되었다. 이는 정조가 주도하여 보덕을 승격시킨 것으로, 시강원 실무를 책임지는 보덕의 지위를 높여 세자의 교육을 강화하고, 아울러 세자시강원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통편(大全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속대전(續大典)』
『시강원지(侍講院志)』
『육전조례(六典條例)』
『정조실록(正祖實錄)』
『태조실록(太祖實錄)』

단행본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민속원, 2008)
김문식·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김영사, 2003)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ㆍ왕태자시강원ㆍ황태자시강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왕이 밤중에 신하를 불러 경연(經筵)을 베풀던 일.    우리말샘

집필자
임혜련(충남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