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정측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정측면
서예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보조선사 지선의 탑비. 보물.
이칭
이칭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보조선사 지선의 탑비.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46m.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보조선사(普照禪師) 지선(智詵)의 탑비로서, 그가 입적한 뒤 4년 만인 884년에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조성되었다. 이 비는 비신(碑身)과 귀부(龜趺)·이수(螭首)를 모두 갖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데, 이수 중앙에 “가지산보조선사비명(迦智山普照禪師碑銘)”이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다.

비문은 김영(金穎)이 짓고, 글씨는 김원(金薳)과 김언경(金彦卿)이 썼는데, 첫 줄에서 일곱 번째 줄의 ‘선(禪)’자까지는 해서(楷書)로 김원이 썼고 ‘사(師)’자 이하는 행서(行書)로 김언경이 썼다. 이것은 아마도 김원이 중도에 죽었기 때문에 그의 제자였던 김언경이 이어 쓴 것으로 생각된다. 일찍이 청(淸) 말기의 금석연구가 섭창치(葉昌熾)는 이 비에 대하여 그의 저서 『어석(語石)』에서 “일비양인서일칙(一碑兩人書一則)”이라고 평한 바 있다.

비신을 받고 있는 귀부는 얼굴이 용두(龍頭)처럼 변하였으며, 이목구비의 조각이 뚜렷하여 사나운 모습을 보여준다. 등 뒤에는 육각형의 귀갑문(龜甲文)이 등 전체를 덮고 있으며, 등 가운데 구름문과 연꽃을 돌린 비좌(碑座)를 설치하여 비신을 받게 하였다. 이수는 아래에 구름문을 조각하고 비제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반룡(蟠龍 : 승천하지 않은 용)을 조각하였는데 뛰어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이 비는 9세기 말경의 석비양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당시 조형수준을 대표하는 뛰어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 國書刊行會, 1974)
집필자
김응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