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성문여 ()

담정총서 / 봉성문여
담정총서 / 봉성문여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인 이옥이 영남지방의 역사 · 유적 · 민속놀이 · 무속 등을 수록한 견문록.
정의
조선후기 문인 이옥이 영남지방의 역사 · 유적 · 민속놀이 · 무속 등을 수록한 견문록.
개설

김려(金鑢)가 1810년(순조 10) 이후에 편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4에 수록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추기남정시말(追記南程始末)」과 「소서(小敍)」에 의하면, 이 책은 저자가 문체(文體) 때문에 정조에게 견책을 받고 1799년(정조 23) 영남의 삼가(三嘉, 일명 鳳城) 지방으로 충군되어 갔다가 118일 만에 돌아올 때, 그간 보고들은 내용을 이듬해 5월 하순 화석정사(花石精舍)에서 쓴 것이다.

그러나 책의 제목은 김려가 저자의 글을 필사, 편집하는 과정에서 붙인 것이다. 사(詞)를 시여(詩餘)라 하듯이 비록 문(文)의 정체(正體)는 아닐지라도 문의 여(餘)는 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하였다고 발문에서 밝혔다.

내용

이 책은 총 64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유적·토속·민속놀이·무속·야담·필기·방언·은어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이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저자의 자존의식과 도덕관 등이 두루 드러나 있다.

한편 토속·민속놀이·무속에 관한 기록들은 당시 이 지방의 민속학연구에 새로운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지방의 방언과 도적들의 은어는 얼마 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희귀한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야담·필기류에서 관찰할 수 있는 그의 도덕관은 특이하다. 지배층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비판적인 반면, 하층민에 대해서는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세태 묘사 작품의 생생한 문체는 패사소품(稗史小品)으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밖에도 이 책은 당시의 시대상을 다각도로 살필 수 있는 자료집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통문관(通文館)이겸로(李謙魯)가 소장하고 있는 국내 유일본이다.

참고문헌

『이옥(李鈺)의 문학이론(文學理論)과 작품세계(作品世界)의 연구(硏究)』(김균태, 창학사, 1986)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