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휴당집 ()

부휴당집
부휴당집
불교
문헌
조선 중기, 부휴계의 조사 부휴 선수의 시와 글을 담은 문집.
이칭
이칭
부휴당대사집(浮休堂大師集)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19년, 1920년
간행 시기
1619년, 1920년
저자
부휴 선수(浮休善修)
편자
각성(覺性), 희옥(熙玉)
권책수
5권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부휴당집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동국대 중앙도서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내용 요약

『부휴당집(浮休堂集)』은 조선 중기 부휴계(浮休系)의 조사 부휴 선수(浮休善修)의 시와 글을 담은 문집이다. 1619년 처음 편찬 간행되었고 1920년에 다시 중간되었다. 이 책에서 선수의 선의 경지, 불교와 유교를 아우르는 교유 관계, 그의 활동과 사상적 지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시대의 아픔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선과 교를 아우르는 조선 후기 불교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정의
조선 중기, 부휴계의 조사 부휴 선수의 시와 글을 담은 문집.
저자 및 편자

부휴 선수(浮休善修, 1543∼1615)는 전라도 남원에서 태어났고 속성은 김씨이다. 20세에 지리산에서 신명(信明)에게 출가한 후 부용 영관(芙蓉靈觀, 1485∼1571)의 법을 이었다. 선수는 평생 수행에 힘썼고 유학과 시문, 서예에도 뛰어났다. 광해군의 원찰인 경기도 양주 봉인사(奉印寺)의 법회를 주관했고, 당대에 사명 유정(四溟惟政, 1544∼1610)과 함께 ‘이난(二難)’으로 칭해졌다. 벽암 각성(碧巖覺性, 1575∼1660)을 비롯해 문하에 700여 명의 제자를 두어 부휴계浮休系)를 일으켰고, 광해군으로부터 ‘홍각등계(弘覺登階)’의 시호를 하사받았다.

서지 사항

5권 1책. 목판본. 선수의 제자 각성, 희옥(熙玉)이 편집하여 1619년(광해군 11) 전라도 곡성 태안사(泰安寺)에서 처음 간행하였다. 풍성후인(豊城後人) 반환자(盤桓子)의 서문이 실려 있다. 부휴계 사찰이었던 구례 화엄사(華嚴寺)에서 1920년에 중간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책의 「제중간부휴집후(題重刊浮休集後)」와 간기에 의하면 혜찬 진응(慧燦震應, 1873∼1941)명안(明眼)이 남원에서 오래된 『부휴집』 한 본을 얻었는데 이를 만력(萬曆) 연간에 간행된 태안사 초간본과 교감하여 1920년 지리산 화엄사에서 중간했다고 한다.

구성과 내용

권1에는 오언절구(五言絶句) 28편(45수), 권2에는 오언율시(五言律詩) 35편(48수), 권3에는 칠언율시(七言律詩) 16편(18수), 권4에는 칠언소시(七言小詩) 150편, 권5에는 소(疏) 13편과 기(記) 1편, 서간문 2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서 권4까지에는 사명 유정을 비롯한 당시의 이름난 고승과 수행승, 명망 있는 관료나 유생들에게 보낸 시를 비롯하여 자연과 사찰을 주제로 하여 그의 독특한 선관(禪觀)과 감흥을 담은 시, 임진왜란 당시의 정세와 관련된 시, 임종게(臨終偈) 등 역사 자료로서 가치가 높은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준노사(俊老師)의 주6에 올리는 축원의 글, 『화엄경』 인쇄와 수륙재(水陸齋)를 축원하는 글, 부용당(芙蓉堂)의 백일재에 올리는 글, 박대비(朴大妃)의 회임(懷妊)을 축원하는 글, 이생원(李生員)의 주2을 위한 글,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의 백일재에 올리는 글, 사명대사의 소상(小祥)에 부치는 글 등을 실었다. 또 등계대사(登階大師)의 천도(薦度)를 위한 글, 부모의 천도를 위한 글, 전사자를 천도하는 글, 주3 등의 기와 보수와 관련된 글, 금강산 백천동(百川洞) 교량 위에 세워진 누각에 대한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고 효를 강조한 내용, 스승 부용 영관과 주5인 사명 유정의 죽음을 애도한 글도 있고, 임진왜란의 참상 속에서 원혼 구제와 위령을 위한 재회 설행 등 당시의 시대상과 불교계의 구체적 활동 모습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이 책에서 부휴 선수의 선의 기풍과 교류, 당대의 역사상과 불교의 역할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4의 선법과 조사선(祖師禪)의 수행 경지, 우국애민(憂國愛民)의 충정과 중생 구제를 위한 불교적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조선 후기 부휴계의 조사인 부휴 선수의 문집으로서 그의 선적 경지, 유불을 아우르는 교유 관계, 활동 내용과 사상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과 같은 전란을 겪으면서 수많은 어려움을 감내해야 했던 당대인들의 고민과 현실 인식을 읽을 수 있다. 또 교단을 중흥시키고 불교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했던 시대적 과제 앞에서 당시 불교인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노력했는지를 살필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승려들이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시대의 아픔을 공유하는 모습을 생생히 보여 주며, 선과 교를 아우르는 조선 후기 불교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 필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부휴당집(浮休堂集)』

단행본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신구문화사, 2010)
이상현 옮김. 『부휴당대사집』(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 14, 동국대 출판부, 2013)

논문

김용태, 「부휴계의 계파인식과 보조유풍」(『보조사상』 25, 보조사상연구원, 2006)
김인덕, 「부휴의 선사상」(『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 197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에 드리는 불공. 우리말샘

주2

일정한 직업을 찾음. 우리말샘

주3

비로자나불을 모신 법당. 우리말샘

주4

보통의 격식이나 관례에서 벗어남. 또는 그런 정도. 우리말샘

주5

함께 도를 닦는 벗. 우리말샘

주6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에 드리는 불공.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