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partizan)

목차
관련 정보
신천지
신천지
현대문학
작품
박영준(朴榮濬)이 지은 단편소설.
정의
박영준(朴榮濬)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52년『신천지(新天地)』 5월호(통권 51호)에 발표되었고, 1969년삼성출판사(三省出版社)에서 간행한 『한국단편문학대계(韓國短篇文學大系) 4』에 수록되었다. 빨치산 생활에서 전향한 사내의 증언을 통해서 이념의 허구성을 고발하고 사랑과 인간애의 고귀성을 갈파하고 있는 작품이다.

내용

화자인 ‘김명구(金命九)’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학년을 중퇴한 후 자진 월북한다. 김명구는 특권층인 소수계급의 인간들 때문에 다수의 빈민층이 학대받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공산주의 이론에 경도된다. 그러나 월북한 김명구는 자신의 희망과는 달리 정치부가 아닌 군사부에 소속된다. 그 까닭이 자신의 출신 성분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 김명구는 보상심리에 의해 당에 맹목적으로 충성하는 인간으로 변모된다.

6·25가 터지자 빨치산이 되어 남하한 김명구는 신불산(神佛山)의 부대장이 된다. 이름을 추일(秋一)이라고 바꾸고 부락습격·교량폭파 등 빨치산 활동에 몰두하여 영웅 칭호를 받게 된다. 중공군이 참전하자 지리산에서 응원군이 온다. 그들 중 김일성대학 재학생인 ‘윤귀향’이란 여자와 사랑에 빠진 김명구는 이후 전처럼 혹독한 살인과 약탈을 감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러 인간애와 연민을 느끼는 등 행동 변화를 보인다.

제대로 명령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 김명구는 영창에 수감된다. 감옥 속에서 상투적인 계급이론의 허구성과 획일적 사고방식에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이후 국군과의 전투에서 윤귀향이 죽는다. 김명구는 총을 버리고 투항한다. 그리고 최후 진술을 통해 만약 자신에게 다시 삶이 주어진다면 “새로 발견된 인간성에 대한 애착을 지닌 삶을 살겠다.”고 이야기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관념적인 이념의 허구성보다 더 고귀한 것은 사랑과 인간애라는 관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이한 이념의 대립을 ‘명구’라는 이름이 상징하고 있는 과거와 ‘추일’이라는 이름이 상징하고 있는 현실을 통해 나타내고자 한 갈등의 대립구조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자칫하면 도식적 구조로 빠지기 쉬운 허구적 관념에서 탈피하는 것을 비교적 거짓 없이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평가받을 수 있다. 그리고 농민문학 계열에서 차츰 도시 문제를 소재로 다루기 시작한 작가의 소재 이전 문제에 있어서 하나의 교량적 구실을 했던 작품으로 볼 수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단편문학대계(韓國短篇文學大系) 4』(한국문학협회 편, 삼성출판사,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홍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