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가 (사랑)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판소리 <춘향가>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서로 사랑을 말하는 노래.
목차
정의
판소리 <춘향가>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서로 사랑을 말하는 노래.
내용

판소리 <춘향가>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서로 사랑을 말하는 노래.

이몽룡과 성춘향이 백년가약(百年佳約)을 맺고 사랑이 깊어졌을 때 사랑에 겨워 부르는 노래로서, 판소리의 각 유파에 따라 조금씩 다른 사설과 음악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오늘날 가장 널리 불리는 사랑가로는 구조(舊調) 사랑가와 신조(新調) 사랑가가 있다.

구조 사랑가는 조선 순조 때의 판소리 명창 송광록(宋光錄)을 비롯하여 같은 시대의 많은 명창들이 소리를 짠 것으로서, 짧은 통절형식으로 된 <긴 사랑가> · <자진 사랑가> · <정자(情字)노래> · <궁자(窮字)노래> · <업기타령> · <타기타령> · <낭군타령> 등이 여러 가지 음악구성으로 진행된다.

이 중에서 <긴 사랑가>와 <자진 사랑가>는 이몽룡과 성춘향이 서로 사랑의 말을 주고받게 되어 있으며, <정자노래> · <궁자노래> · <업기타령> · <타기타령> 등은 이몽룡의 노래로, <낭군타령>은 성춘향의 노래로 불린다.

이 구조 사랑가의 전체적인 음악구성을 보면 처음에 주1주2로 짜여진 <긴 사랑가>에서 시작하여 점차 흥겹고 발랄하게 이어진다. 이것은 마치 춘향과 이몽룡의 사이가 점차 부끄러움이 없어지고 사랑의 표현이 대담해지는 과정을 묘사한 것처럼 보여 사설과 음악의 흐름이 매우 잘 짜여진 소리 대목임을 알 수 있다.

‘만첩청산(萬疊靑山) 늙은 범이’로 시작하는 송광록 주3의 <긴 사랑가>는 진양장단에 우조로, <긴 사랑가>에 이어 부르는 고수관(高壽寬) 더늠의 <자진 사랑가>는 주4에 추천목으로 짜여 있다.

또 ‘정(情)’자가 들어 있는 낱말에 사랑의 의미를 붙여 부르는 <정자노래>는 중중모리장단에 주5로, 훨씬 노골적인 사설을 담은 <궁자노래>는 주6주7(드럼조) 혹은 주8로 짜여 있다.

그리고 춘향의 노래인 <낭군타령>은 춘향이 이몽룡을 업은 것처럼 이몽룡의 팔을 어깨에 얹고 부르는 노래로서 중중모리장단에 평계면으로 되어 있다. <타기타령>은 이몽룡과 춘향이 마치 어린아이들처럼 말농질(말타기 장난)을 하면서 부르는 것으로 자진모리장단과 평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 사랑가의 여러 대목은 <긴 사랑가>와 <자진 사랑가>처럼 반드시 소리로 불리는 대목이 있는가 하면, <정자노래> 이후 짧은 노래들은 주9와 공연 형편에 따라 빼고 넣는 대목도 있다.

한편, 신조 사랑가는 고종 말기부터 1900년대 초반에 활약한 판소리 명창 정정렬(丁貞烈)의 더늠을 가리키며, 정정렬 명창의 전성기인 일제강점기에 널리 퍼져 오늘까지 애창되고 있는 사랑가이다.

이 사랑가의 구성은 <긴 사랑가>와 <자진 사랑가>로 되어 있으며, 모두 이몽룡과 성춘향이 이야기를 주고받는 대화체의 사랑가로 짜여 있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어허 둥둥 내 사랑아’로 시작하는 <긴 사랑가>는 진양조장단에 우조로 부르며, <자진 사랑가>는 중중모리장단에 평조와 주10를 섞어 부른다. 특히, <자진 사랑가>대목에서 이몽룡의 노래는 평조로, 성춘향의 노래는 계면조로 표현함으로써 인물의 성격을 선율의 조(調)로 대비시키는 점이 돋보인다.

주석
주1

민속 음악에서 쓰는 판소리 및 산조 장단의 하나. 24박 1장단의 가장 느린 속도로, 정악(正樂)에서 사용하는 여민락만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

동양 음악에서, ‘우’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 다른 곡조보다 맑고 씩씩하다.    우리말샘

주3

판소리에서, 명창이 자신의 독특한 방식으로 다듬어 부르는 어떤 마당의 한 대목.    우리말샘

주4

민속 음악에서, 판소리 및 산조 장단의 하나. 중모리장단보다 빠르고 자진모리장단보다 느리다.    우리말샘

주5

국악에서 쓰는 속악 음계의 하나. 중국 음악의 치조와 양악의 장조에 가까운 낮은 음조이다.    우리말샘

주6

판소리나 산조 장단의 하나. 휘모리장단보다 좀 느리고 중중모리장단보다 빠른 속도로, 섬세하면서도 명랑하고 차분하면서 상쾌하다.    우리말샘

주7

판소리에서, 처음에 높은 소리로 호령하듯 질러 내다가 차차 내려오는 가락의 창법. 씩씩하고 거드럭거리는 창법으로, 권삼득이 잘 불렀다 한다.    우리말샘

주8

국악에서 쓰는 속악 음계의 하나. 중국 음악의 치조와 양악의 장조에 가까운 낮은 음조이다.    우리말샘

주9

노래나 창을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0

국악에서 쓰는 음계의 하나. 슬프고 애타는 느낌을 주는 음조로, 서양 음악의 단조(短調)와 비슷하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