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훈몽 ()

사례훈몽 / 관례
사례훈몽 / 관례
가족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항복이 사례의 정신적인 본질을 강조하고 계몽하기 위하여 저술한 예서.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항복이 사례의 정신적인 본질을 강조하고 계몽하기 위하여 저술한 예서.
편찬/발간 경위

1622년(광해군 14) 제자인 김지남(金止男)이 전라감사로 있으면서 간행하였고, 그 뒤 1674년(현종 15)에는 저자의 손자인 시현(時顯)의 발문을 붙여서 중간하였으며, 1678년(숙종 4)의 간본에는 송시열(宋時烈)의 발문이 붙어 있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목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항복은 임진왜란의 전후기에 어려운 국내외의 정치·경제·외교적 난국을 극복하는 데 전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 초기부터 거의 강요하다시피 해온 가례(家禮)의 시행을 위해서도 노력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가례의 시행과정에서 오는 여러 가지 폐단을 계몽하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즉, 이 책의 서문에서 이항복이 기술한 바와 같이, 가례에서 제시하는 예제는 어디까지나 의절(儀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잘못하다가는 예의정신을 등한시하기 쉽고, 따라서 그 본질을 소홀히 하고 형식에만 얽매이고 마는 결과가 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항복은 고례(古禮)의 정신적인 근원인 『예기(禮記)』에서 사례(四禮)에 관한 여러 요긴한 항목과 술어 및 적절한 구절을 뽑고, 이언적(李彦迪)의 『봉선잡의(奉先雜儀)』를 많이 참고하여, 가례의 의절보다는 그 속에 숨어 있는 정신적인 예의 본질을 강조하고 계몽하기 위하여 이 책을 엮게 되었다.

비록 1권 1책에 지나지 않는 책이라고 할지라도 가례의 정신적인 길잡이가 된 중요한 책이었다. 조선 중기까지의 조선조에서의 가례의 인식과 그 시용이 어떠하였는가를 방증하는 데 귀중한 참고가 되는 저작물이기도 하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황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