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

조선시대사
개념
고려 중기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유교적 지식을 갖춘 지배층을 이르던 말.
이칭
이칭
사림파, 문반
내용 요약

사림은 고려 중기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유교적 지식을 갖춘 지배층을 이르던 말이다. 문무 관원, 특히 삼사(三司) 등의 청요직(淸要職)에 재직한 문반과 유생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사림파'라는 개념으로 발전해 조선 전기 지배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다.

정의
고려 중기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유교적 지식을 갖춘 지배층을 이르던 말.
내용

‘사림’은 말 그대로 ‘선비들의 집단’, 곧 전근대 문무 관원과 유생을 포괄한 지배층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사적 연원을 살펴보면 중국사에서 ‘사림’이라는 단어는 멀리 고대의 순(舜)임금이나 주나라의 무왕(武王)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전국시대(戰國時代, 서기전 403∼서기전 221)와 동한(東漢, 25∼220)을 거쳐 명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변천 및 현황

한국사에서는 사림이 고려 중기부터 나타나는데, 1176년(명종 6) 최여해(崔汝諧)가 국자좨주(國子祭酒)에 임명되고,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주관하게 되자 사림이 비웃었다는 기록이 주1 고려시대에 유학을 공부한 학자나 관원은 주로 유사(儒士)나 유신(儒臣)으로 불리다가 고려 후기에 성리학이 들어오면서 사대부(士大夫) · 사인(士人) · 사류(士類) · 사족(士族) 등 ‘사’를 강조한 표현이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런 흐름과 함께 사림은 지배층을 포괄하는 용어로 점차 자리를 잡아갔다.

성리학이 보편화된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사림’은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림’이라는 단어는 1,800여 회가 나오는데, 시기별로는 조선 초기에 해당하는 태조~성종 때 160여 회(약 9%)가 사용되기 시작해 중기로 접어든 연산군~현종 때 1,200여 회(약 67%)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후기인 숙종~철종 때 440여 회(약 24%)가 나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흐름은 연산군 때 이후 사화(士禍) · 동서분당(東西分黨) · 기축옥사(己丑獄事) · 예송(禮訟) · 환국(換局) 등 지배층 사이의 주요한 정치적 충돌이 전개되면서 그 용어가 자주 쓰이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범주와 의미

‘사림’의 범주를 살펴보면 우선 문무 관원이 해당된다. 조정을 한 집안에 비유하면서 “국왕은 위에 계시는 부모이고 사림은 그 아래에 있는 형제”라는 기사들은 ‘사림’이 문무를 포괄한 조정 관원 전체를 가리킨다는 것을 주2

그러나 ‘선비’라는 의미를 담은 만큼 무반보다는 문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가운데서도 이조(吏曹) · 병조전랑(兵曹正郞)이나 삼사 · 예문관(藝文館) 등 이른바 ‘청요직’을 맡은 관원은 좀 더 확실히 ‘사림’으로 공인받았던 것 같다. 이를테면 전랑은 “매우 중요하고 엄선해야 하는 사림의 관직”으로 자주 거론되었고 삼사도 비슷한 평가를 주3

이런 의미의 연장선 위에서 ‘사림’은 대신(大臣)이나 재상과는 구별되는 부류로 여겨졌다. 이를테면 “재상과 사림은 둘이 아니다.”, “재상과 사림이 불화하고 있다.”, “재상은 사림을 자식이나 동생처럼 아낀다.”는 기록들은 ‘사림’이 대신 · 재상보다는 하위에 있고 상대적으로 젊은 관원이었음을 주4

그러나 ‘사림’의 모범이 되거나 존경을 받은 대신이나 정승도 주5, 대신이 뜻을 펴지 않을까 걱정하거나 재신의 처벌에 반대하는 ‘사림’도 있었다는 기록은 둘이 대립하면서도 서로 보완하는 관계였음을 주6

‘사림’의 의미는 조정 관원을 넘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은 유생층으로 확대되었다. 이를테면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조정 관원과 사림이 모두 주7거나 “관원이 사림을 주8 같은 기사는 그런 측면을 잘 보여준다. 끝으로 외척과 잡과를 거쳐 진출한 의원 등 기술관이 소속된 중인층은 ‘사림’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도 덧붙일 주9

197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에서는 이런 전근대의 많은 용례 가운데 일부의 특징을 추출해 성리학에 많은 관심과 지식을 지닌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으로 성종 중반 이후 주로 삼사를 통해 중앙 정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정치 세력으로 ‘사림’을 규정하였다. 그리고 ‘사림’은 ‘ 훈구파’와 대립하면서 사화 등의 시련을 겪기도 했지만 결국 선조 초반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의의 및 평가

이런 견해는 한국사의 지배층의 변화와 발전을 단계적으로 선명하게 서술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른바 ‘훈구파’의 대립 세력으로서 ‘사림파’의 여러 특징을 지나치게 도식적이고 단순하게 설정한 결과 실제의 모습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선조실록(宣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

단행본

에드워드 와그너, 이훈상 · 손숙경 옮김,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일조각, 2007)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태학사, 2002)
이병휴,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일조각, 1999)
이성무, 『조선양반사회연구』(일조각, 1995)
최이돈, 『조선중기 사림정치구조연구』(일조각, 1994)
이태진, 『조선유교사회사론』(지식산업사, 1989)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지식산업사, 1986)
이병휴, 『조선전기 기호사림파연구』(일조각, 1984)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영남대학교출판부, 1979)

논문

김돈, 「정치세력인 사림의 역사적 성격과 과제」(『내일을 여는 역사』 26, 서해문집, 2006)
이희환, 「조선전기 사대부 · 사류 · 사림의 용례」(『전남사학』 24, 전남사학회, 2005)
김범, 「조선전기 ‘훈구 · 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한국사학보』 15, 한국사학회, 2003)
정두희, 「조선전기 지배세력의 형성과 변천: 그 연구사적인 성과와 과제」(주보돈 외,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이태진, 「조선시대의 정치적 갈등과 그 해결: 사화와 당쟁을 중심으로」(이태진 편,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주석
주1

『고려사』 열전 14 최여해.

주2

『중종실록』 중종 30년 9월 을유; 『중종실록』 중종 30년 10월 정유 등.

주3

『명종실록』 명종 즉위년 12월 정미; 『중종실록』 중종 24년 10월 기축 등.

주4

『중종실록』 중종 26년 10월 경술; 『중종실록』 중종 26년 11월 을묘.

주5

『중종실록』 중종 26년 11월 갑술; 『영조실록』 영조 52년 1월 갑술 등

주6

『중종실록』 중종 12년 1월 정해; 『숙종실록』 숙종 41년 11월 정사.

주7

『중종실록』 중종 3년 6월 경오.

주8

『정조실록』 정조 16년 10월 무진.

주9

『선조실록』 선조 33년 1월 무진; 『숙종실록』 숙종 8년 4월 무자; 『성종실록』, 성종 15년 12월 갑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