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원당문집 ()

삼원당문집
삼원당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허원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허원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5년 허언식의 아들 허용두(許容斗)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김택영(金澤榮)·노상직(盧相稷)·조호래(趙鎬來) 등의 서문 4편, 허용두의 선군사략(先君事略), 문과전시급제방목(文科殿試及第榜目)이 있고, 권말에 이만도(李晩燾)·조병규(趙昺奎)·이상규(李祥奎)·이석관(李碩瓘)·노보현(盧普鉉) 등의 발문 5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3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제1·2책은 권1∼4로 되어 있고, 제3책은 부록으로 권수의 표시가 없다. 권1에 시 50수, 소(疏) 7편, 권2에 서(書) 21편, 잡저 19편, 권3·4에 부록으로 세계도, 연보, 문자(文字) 75편, 증허습유(贈許拾遺)·제공왕복첩(諸公往復帖)·제문·묘갈명·묘표·삼원도기(三元道記) 등이 실려 있다. 제3책은 문집동간회(文集同刊會)·동간록(同刊錄)으로 되어 있다.

시는 촉석루(矗石樓)·선죽교(善竹橋) 등 옛 충신과 관련된 유적지를 찾아가 지은 것이 여러 편 있다. 김현봉(金顯鳳)·이만도·서찬규(徐贊奎) 등의 시에 차운(次韻)하였고, 노학경(盧學卿)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소에는 저자의 조상인 허조(許稠)를 모신 금호서원(琴湖書院)의 훼철을 반대하고 복향(復享)할 것을 요청한 「청복선원소(請復先院疏)」, 전정(田政)의 폐단과 잡비(雜費)의 증가 등 향촌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논시정소(論時政疏)」와 「재소(再疏)」, 인재의 등용을 주장한 「청간선인재계(請揀選人才啓)」 등이 있다.

서(書)는 흥선대원군, 스승인 허전(許傳), 신응조(申膺朝), 심동신(沈東臣) 등과 내왕한 것들이다. 그 중 흥선대원군에게 보낸 편지는 허조의 서원 철폐에 대한 것,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 당시 향촌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던 좌수(座首)의 명칭과 임명 방식을 변경하자고 건의한 내용 등이 있다. 허전에게 보낸 편지는 학문의 연원에 관한 내용이다. 잡저 가운데 「통유영남문(通諭嶺南文)」은 1866년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군수(軍需)에 도움이 될 만한 재물을 내도록 영남 지방의 백성들에게 권유하는 내용의 통문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