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성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문서 전달과 국가 행정을 담당하였던 상서도성과 상서육부로 구성된 관부.
이칭
이칭
남성(南省)
제도/관청
설치 시기
982(성종 1)|1356년(공민왕 5)
폐지 시기
1275년(충렬왕 1)|1362년(공민왕 11)
내용 요약

상서성은 고려시대에 문서 전달과 국가 행정을 담당하였던 상서도성(尙書都省)과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구성된 관부이다. 성종 대에 당의 3성 6부제를 수용하면서 설치 · 운영되었다. 고려 후기에 상서도성은 폐지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상서육부의 국가 행정은 다양한 형태로 유지 · 운영되었다. 3성의 하나였으나 중서문하성에 비해 위상이 낮았다. 국왕이 상서육부의 행정을 직접 관할하였으며 동시에 중서문하성의 재상이 6부판사를 일부 겸직하여 행정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정의
고려시대, 문서 전달과 국가 행정을 담당하였던 상서도성과 상서육부로 구성된 관부.
설치 목적

고려시대에 성종이 당나라의 3성 6부제를 수용하면서 중앙과 지방 사이의 문서 전달을 담당하고 국가 행정의 중추 기능을 관장하도록 할 목적으로 상서성을 설치하였다.

기능과 역할

상서도성은 중앙관청과 지방관청 사이의 문서 전달을 관장하여 중앙과 지방 사이의 문서 전달은 상서도성을 경유해야 하였다. 예부가 보내는 지방 노인의 연회 개최 공문도 상서도성에서 전달하였다. 상서도성은 문서 행정에서 지방관청에 대해 중앙관청을 대표하는 위상에 있었다. 도성의 청사가 넓었으므로 형벌 논의, 사신 영접, 주1, 주2, 과거시험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일시적으로 경기의 주현을 통할하기도

상서육부주3는 국가 행정의 중추를 담당하였다. 주4는 문관의 선발과 공훈자의 책봉을 담당하였으며, 주5는 무관 선발 · 군사 행정 · 의장과 호위 · 주6을 담당하였다. 주7는 호구(戶口) · 공부(貢賦) · 전량(錢糧)을 관리하였으며, 주8는 법률 · 사송(詞訟) · 상언(詳讞)을 관장하였다. 주9는 각종 예의(禮儀) · 제향(祭享) · 조회 · 교빙(交聘) · 학교 · 과거를 관장하였으며, 주10는 산과 연못 · 공장(工匠) · 영조(營造) 등을 관할하였다.

상서성의 변천사항

상서성은 982년(성종 1)에 당나라의 3성 6부제를 수용하여 어사도성(御事都省)과 어사육관(御事六官)을 설치한 데서 연원하여 995년(성종 14)에 상서도성과 상서육부의 상하 이중조직으로 개편하면서 성립하였다. 어사도성과 어사육관은 중국 제도를 수용한 것이지만 건국 초기의 관부를 개편한 것이기도 하였다.

『고려사』는 성종 대에 광평성을 어사도성으로 개편하였다고 되어 있으나 주11을 도성으로 보는 『 삼국사기』에 따라 내봉성을 어사도성으로 개편하였다는 견해가 널리 수용되고 있다. 어사육관의 일부는 건국 초기의 병부병관으로, 의형대(義刑臺)가 형관으로 개편된 것도 있었으나 주12의 형식을 갖춘 것은 성종 대였다.

상서성은 당제를 수용한 것이나 고려의 필요에 맞게 운영되었다. 당제와 달리 상서도성은 궁성 내에, 상서육부는 광화문 밖에 위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었다. 상서도성은 좌우사(左右司)로 구성되었으나 아래에 상서육부가 좌우로 엄격하게 배치되지 않았다. 상서육부의 서열도 이부 · 병부 · 호부 · 형부 · 예부 · 공부로 구성되었으며, 주13의 숫자도 이부에 고공사(考功司), 형부에 도관(都官)의 2개만 두었다.

관원으로는 문종 대에 상서도성은 상서령(尙書令, 종1품), 좌우 복야(左右僕射, 주14, 지성사(知省事, 주15, 좌우승(左右丞, 종3품), 좌우사낭중(左右司郞中, 정5품), 좌우사원외랑(左右司員外郞, 정6품), 도사(都事, 종7품)를 두었고, 상서육부는 판사(判事, 재신겸직), 상서(尙書, 정3품), 지사(知事, 타관겸직), 시랑(侍郞, 정4품), 낭중(郞中, 정5품), 원외랑(員外郞, 정6품)을 두었다.

상서도성의 2품 이상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관원과 비교되었다. 고려의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은 당나라의 3성 제도를 수용한 것이나 이들은 병렬적인 조직이 아니라 상하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무엇보다 관원의 지위와 위상이 달랐다. 중서문하성의 2품 이상 관원은 종실이나 치사 · 추증으로 지급한 중서령(中書令) 외에는 문하시중 · 평장사(平章事) · 참지정사 · 정당문학 · 주16 등이 모두 재상으로 운영되었으나, 상서도성은 종실에게 지급된 상서령은 물론 실질적인 장관인 복야나 지도성사도 재상이 되지 못하였다.

좌우복야는 정3품인 6부의 상서와 함께 주17로 불리며 재상과는 달리 취급되었다. 복야는 백관의종(百官儀從)의 구사 숫자나 녹봉, 전시(田柴) 등의 특권과 지위로 보아 재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양부로 불리며 국가 중대사를 논의한 재추와 달리 재상의 핵심 기능인 국정 논의에 참여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아 재상으로 보기 어렵다. 중서문하성에는 재상이 있었으나 상서도성에는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상서도성은 중서문하성보다 지위는 낮았으나 상서도성 아래에 상서육부가 있었다. 그러나 국정 운영에서 상서육부는 중서문하성이나 상서도성을 거치지 않고 국왕과 직접 연결되었다. 국왕이 국가 행정의 중추인 상서육부의 행정을 직접 관할하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중서문하성의 재상이 6부판사를 겸직하였다는 점이 주목되었다. 6부판사 제도를 통해 재상이 6부를 장악하였고 왕권은 제약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상서육부는 원래 판사가 없는 제도로 설치 · 운영되다가 현종 이후에 판사가 하나둘씩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그중에 문반무반의 인사를 담당하던 이부와 병부의 판사는 차츰 수상과 주18이 겸하는 관행이 성립하였으나 다른 판사는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그래서 6부판사는 정치 행정적인 필요나 관행에 따라 임명된 것이며 재상이 6부를 장악하는 제도는 아니었다고 이해되기도 한다.

상서도성과 상서육부로 구성된 상서성은 몽골 복속기 이후에 크게 변화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 상서도성은 중서문하성에 병합되어 첨의부가 되면서 폐지되었고, 상서육부의 행정 업무는 전리사 · 군부사 · 판도사 · 전법사의 4사(四司)로 개편되면서 유지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상서도성의 관부는 복구하지 않은 상태에서 첨의부에 복야 · 낭중 · 원외랑 · 도사를 두어 별청에서 업무를 보게 하였고, 4사는 전조(銓曹) · 병조(兵曹) · 민조(民曹) · 형조(刑曹) · 의조(儀曹) · 공조(工曹)의 6조로 개편되었다. 충선왕이 퇴위하자 첨의부 소속의 상서도성 관직을 폐지하였고 4사로 바꾸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선부(選部) · 민부(民部) · 언부(讞部)로 개편하였다가 다시 4사로 바꾸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반원정치의 일환으로 상서성[상서도성]과 상서육부로 복구하였다. 하지만 1362년(공민왕 11)에 상서성[상서도성]이 폐지되면서 완전히 없어졌다. 상서육부의 행정은 유지되어 전리사 · 군부사 · 판도사 · 전법사 · 예의사 · 주19의 6사로 개편하였다. 1369년(공민왕 18)에 선부 · 총부 · 민부 · 이부 · 예부 · 공부의 6부로, 1372년에 6사로, 1389년(공양왕 1)에 이조 · 병조 · 호조 · 형조 · 예조 · 공조의 6조로 개편하였다.

고려 후기에 도평의사사가 국가 대사를 논의하는 최고회의기구이자 정무기구로 운영되면서 6부의 행정 기능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육전 중심의 행정체계를 정립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상서도성은 폐지되었어도 6부는 다양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의의 및 평가

상서성은 고려시기의 행정관부 가운데 가장 중요한 핵심 관부였다. 상서도성은 상서육부를 행정적으로 장악하지 못하면서 폐지되었으나, 상서육부는 성종이 도입한 이후 일부 변화가 있었지만 조선시기까지 계승되는 국가 행정의 중추 기구였다는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대식, 『고려전기 중앙관제의 성립』(경인문화사, 2010)
이정훈, 『고려전기 정치제도 연구』(혜안, 2007)
박재우, 『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신구문화사, 2005)
박용운, 『고려시대 상서성 연구』(경인문화사, 2000)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일조각, 1971)

논문

박재우, 「고려전기 6부판사의 운영과 권력관계」(『사학연구』 87, 한국사학회, 2007)
주석
주1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우리말샘

주2

날이 가물 때에 비가 오기를 빎.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행정을 나누어 맡아보던 여섯 관아. 성종 14년(995)에 육관(六官)을 고친 것으로 이부, 호부, 병부, 예부, 형부, 공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문선(文選)과 훈봉(勳封)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5

고려 성종 14년(995)에 병관을 고친 것. 6부의 하나로, 무선(武選)ㆍ군무(軍務)ㆍ의위(儀衛)ㆍ우역(郵驛) 등의 일을 맡아보았으며 후에 군부사ㆍ병조ㆍ병부 등으로 이름을 고쳤다.    우리말샘

주6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며 외국 사신의 왕래, 벼슬아치의 여행과 부임 때 마필(馬匹)을 공급하던 곳. 주요 도로에 대개 30리마다 두었다.    우리말샘

주7

고려 시대에, 호구(戶口), 공부(貢賦), 전량(錢糧)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8

고려 시대에, 법률ㆍ소송ㆍ재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9

고려 시대에, 의례ㆍ제향ㆍ교빙ㆍ학교ㆍ과거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10

고려 시대에, 산택(山澤)ㆍ공장(工匠)ㆍ영조(營造)의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11

태봉(泰封)에서, 내무(內務)와 백관(百官)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고려의 상서도성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12

육조(六曹)의 집무 규정. 이전, 호전, 예전, 병전, 형전, 공전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3

어느 관청에 딸린 하급 관청.    우리말샘

주14

고려 시대에, 상서성에 속한 정이품 벼슬. 좌우 두 사람이 있었으며, 조선 시대의 의정부 참찬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15

고려 시대에, 상서도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좌ㆍ우복야(左右僕射)의 다음 서열이다.    우리말샘

주16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문종 때 정하였으며 뒤에 지첨의부사로 고쳤다가 다시 지도첨의사, 지문하부사 등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17

중국 후한ㆍ진(晉)나라 때에, 육조의 상서(尙書) 및 일령(一令), 일복야(一僕射)를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18

재상에 버금간다는 뜻으로, ‘어사대부’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고려 시대에 둔 육사(六司)의 하나. 산택, 영조, 공장의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상서공부를 공민왕 11년(1362)부터 18년(1369)까지, 공민왕 21년(1372)부터 공양왕 원년(1389)까지 이르던 이름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