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소리 (소리)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국악
작품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
이칭
이칭
만가, 상두소리, 향두가
내용 요약

상여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이다. 만가·향도가·상두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소리·행상소리·자진상여소리·달구소리로 나누어진다. 노랫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도 많다. 메기는소리는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내 집앞이 북망일세” 등이 많이 사용된다. 받는소리는 “너허 너허 너화너 너이가지 넘자 너화 너” 등의 노랫말이 많이 쓰인다. 상여소리는 장례를 치르는 의식요와 상여를 운반하는 노동요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목차
정의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
내용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

일명 만가(輓歌) · 향도가 · 향두가(香頭歌) · 행상소리 · 회심곡(回心曲) · 옥설개 · 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사회적으로 천시를 받던 사람들이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상두도가를 중심으로 직업화된 사람들에 의해서 불렸지만, 지금은 보통 불리지 않고 있다.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단위로 마을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이 노래를 불렀고, 현재도 불리고 있다. 노래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도 적지 않다.

메기는 소리에는 보통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내 집앞이 북망일세”,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등과 같은 노래말이 많이 쓰인다. 받는 소리는 “너허 너허 너화너 너이가지 넘자 너화 너” 혹은 “에헤 에헤에에 너화 넘자 너화 너” 등의 노래말이 많이 사용된다.

때로는 처음의 느린 부분에 “관세음보살” · “관암보살” · “나무아미타불” · “나무할미타불” 등과 같은 불가(佛家)의 노래말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목소리, 즉 ‘초성’ 좋고 노래말은 잘 외우는 ‘문서’ 있는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상여를 멘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초경(初更) · 중경(中更) · 종경(終更)으로 나누어 예행 연습을 하면서 부를 때는 ‘장맞이’ 혹은 ‘말메이는 소리’라고도 한다. 앞소리를 부르고 요령을 잡았다 하여 ‘요령잡이’라고도 불리는 선창자는 요령을 흔들면서 애처로운 소리로 앞소리를 한다.

앞소리의 노래말은 유(儒) · 불(佛) · 선(仙)적인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이 세 가지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고사(故事)를 인용하고 있다. 또한, 삼강오륜의 도덕성 확립을 위한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序唱)소리 · 행상(行喪)소리 · 자진상여소리 · 달구소리로 나누어진다. 서창은 24∼32인으로 구성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죽은 이의 혼이 집을 떠나기 서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느리게 부르는 부분이다.

행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자진상여소리는 묘지에 거의 다 와서 산으로 올라가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달구소리는 하관 뒤에 무덤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장례의식과 상여를 메고 운반하며, 또 땅을 다지는 노동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어, 의식요이면서도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흔히 각 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언덕 하나만 넘거나 냇가 하나만 건너도 다르다고 이야기하지만, 다르다는 의미가 지방의 사투리에 따라 노래말이 다르다는 뜻인지, 노래의 가락이 다르다는 뜻인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노래말의 적지 않은 부분이 비슷한 내용이고, 선율의 골격도 전라도외 경상도 · 강원도 · 충청도 등 지역간의 차이가 별로 없다. 선율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한다면, 대개 미 · 솔 · 라 · 시 · 도 · 레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으로는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회심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소리는 문학적인 면의 서사민요에 속하는 긴 노래말로 되어 있기도 하나, 선율은 지루하리만큼 슬픈 선율을 반복 사용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공주지방에서는 혼자 메기지 않고 4인의 합창으로 메기고, 이어서 모두가 받는 짝타령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향토조(鄕土調) 선률(旋律)의 골격」(권오성, 『예술논문집』 16, 대한민국예술원,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