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까래

목차
관련 정보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서까래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서까래
주생활
개념
목조건축물의 골격이 완성된 다음, 도리와 도리 사이에 도리와 직각이 되게 걸쳐놓는 건축 부재(部材).
목차
정의
목조건축물의 골격이 완성된 다음, 도리와 도리 사이에 도리와 직각이 되게 걸쳐놓는 건축 부재(部材).
내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올려서 그 위에 산자주1을 깔 수 있도록 한다. 주13주12의 밖으로 내밀어서 처마가 생기도록 한다. 서까래는 그 형태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것과 장방형인 것의 두 가지인데, 대부분의 집에서는 원형이 채택되고 있다. 근 통나무를 그냥 쓰면 연(椽), 방형(方形)으로 다듬어서 쓰면 각(桷)이라 부른다. 도리와 도리는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 서까래는 자연 경사를 이루게 되는데, 이것을 물매라 한다. 서까래의 물매는 집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비슷하며, 비가 많은 남부지방에서 비교적 센 물매를 가진다.

집이 삼량가(三樑架)이면 주2으로만 구성되지만, 오량가(五樑架) 이상이면 장연과 주3으로 나누어지고, 아주 큰 집에서는 주4이 더 있는 경우도 있다. 장연은 주심도리와 주14 사이를 덮으면서 처마를 이루는 부분까지를 이르고, 단연은 주15에서 중도리 사이를 덮는 것으로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지붕의 구조가 팔작이나 우진각, 또는 삿갓지붕이 되면 추녀가 걸리게 되고, 처마의 주16을 잡아주기 위하여 주17가 구성된다. 선자서까래를 간략하게 꾸미는 방법으로 엇선자 · 말굽선자도 있다.

서까래의 간격은 서까래의 굵기와 관계가 있는데, 대략 한자[一尺]가 많이 쓰인다. 초가에서는 지붕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서까래가 가늘어지지만 그 간격은 대략 한자 내외이다. 기와집에서는 서까래가 굵어지더라도 그 간격을 한 자 두 치 이상 넓게 하지는 않는다. 보통 규모의 기와집일 경우 서까래의 굵기는 직경이 5치[五寸]이고, 간격은 굵기의 배인 한자가 표준이다.

오량집의 경우, 장연과 단연은 중도리에서 서로 엇비껴 만나게 된다. 그 중심축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구멍을 뚫고 도리방향으로 주5를 꽂는다. 이 꿸대는 싸리나무가 주로 쓰이며, 주6이라고 부른다. 서까래와 도리를 결구하기 위하여 연정(椽釘)을 박는데 서까래의 굵기에 따라 주7으로 길이가 7치 내지 한 자짜리를 쓴다.

서까래의 주8은 둥근서까래의 경우, 처마의 끝부분을 약간 가늘게 후려 준다. 서까래가 다섯 치이면 말구의 지름은 네 치 반 정도가 된다. 서까래 위에 덧붙이는 부연(副椽)이나, 박공부분에 설치되는 주9은 각(桷)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서까래라 할 수 있으나, 통상의 서까래와는 구분하여 부르고 있다.

도리와 도리 사이에 높이의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규모가 작은 주10이나 주11에서 나타나는데, 서까래가 수평으로 걸리게 된다.

이 경우 지붕의 물매는 헛서까래를 써서 잡아 주어야 한다. 수평으로 걸린 서까래는 평서까래[平椽]라 부른다. 헛서까래는 밑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으로 팔작이나 우진각의 상부 양측에 지붕의 물매를 잡아주기 위하여 거는 경우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주석
주1

서까래, 부연, 목반자 따위의 위에 까는 널빤지. 우리말샘

주2

오량(五梁) 이상으로 지은 집의 맨 끝에 걸리는 서까래. 우리말샘

주3

기둥 윗머리 사개통에 보나 도리를 받치기 위하여 가로나 세로로 먼저 얹는 짧은 나무. 우리말샘

주4

중도리와 중도리에 걸쳐 대는 서까래. 우리말샘

주5

건축물의 목공사 따위에서, 벽 바탕에 뼈대를 설치하고 벽을 보강하기 위하여 기둥을 연결하는 데 쓰는 가로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서까래의 끝머리에 구멍을 뚫고 연달아 꿰어 연결하는 가늘고 긴 나무. 우리말샘

주7

대가리를 둥글넓적하게 만들어 장식으로도 쓰는 못. 우리말샘

주8

재목을 다듬고 손질함. 우리말샘

주9

박공 머리에 건 짧은 서까래. 우리말샘

주10

대문간이 따로 없이 양쪽에 기둥을 하나씩 세워서 문짝을 단 대문. 우리말샘

주11

지붕의 전면과 후면에 처마 도리 또는 중도리를 걸고 중도리와 중도리 사이에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어 그 위에 적심 따위를 채워 용마루를 꾸미는 지붕틀. 우리말샘

주12

서까래를 얹기 위하여 기둥의 중심선 바깥쪽에 걸치는 도리. 우리말샘

주13

기둥의 중심 위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도리. 우리말샘

주14

동자기둥에 얹어서 서까래나 지붕널을 받치는 가로재. 우리말샘

주15

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우리말샘

주16

끝머리가 휘어 오른 추녀. 또는 그 휘어 오른 곡선. 우리말샘

주17

추녀 옆에서 중도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부챗살 모양으로 배치한 서까래. 우리말샘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