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경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불교
유물
불경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하여 돌에 새긴 경문(經文).
목차
정의
불경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하여 돌에 새긴 경문(經文).
내용

암석이나 석판에 경전을 새긴 것으로, '대보적경(大寶積經)'과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에 기록되어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중국 석경산(石經山)의 것과 전라남도 지리산 화엄사(華嚴寺)의 석경이 있다. 중국 석경산 장경(藏經)은 수(隋)나라 대업연간(大業年間, 605∼616)에 지원(智苑)이 불교가 박해를 당하더라도 불종(佛種)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시작하였으며 그의 대에 완성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4대에 걸친 제자들이 뜻을 이어 『화엄경』·『열반경』·『반야경』·『보적경 寶積經』 등 사대부경(四大部經)을 완성하였다.

지리산 화엄사의 석경은 이 절의 3층 법당(法堂)이었던 장륙전(丈六殿) 주위에 흙을 바르지 않고 모두 청벽(靑壁)을 써서 그 위에 『화엄경』을 새긴 것이다. 그러나 몇 차례의 전란으로 인해 현재에는 크고 작은 1만 여점의 파편이 남아 있다. 이밖에 우리나라에서 조성된 석경은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몽유집(夢遊集)』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상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