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민황제본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저승에 다녀 온 세민황제의 내력을 풀이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채록 무가.
내용 요약

「세민황제본풀이」는 저승에 다녀 온 세민황제의 내력을 풀이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채록 무가이다. 연행 상황에 대한 언급은 없이 사설만을 기록한 두 편의 채록본이 남아 있다. 굿에서 구연된 현장 사례를 찾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서사의 주인공을 신격으로 모시는 의례도 없기 때문에, 어떤 신격의 본풀이로서 제주도 무속 집단이 공유해 온 서사무가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고소설 「당태종전」, 구비설화 「덕진다리」와 유사한 서사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정의
저승에 다녀 온 세민황제의 내력을 풀이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채록 무가.
내용

현재 남아 있는 두 편의 자료 모두 이승에서 포악한 짓을 하던 세민황제가 죽어 저승에 다녀와서 적선의 길을 깨닫고 선행을 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아카마쓰 지조 · 아키바 다카시의 채록본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민황제가 불법을 무시하며 백성을 착취하고 포악한 짓을 하다가 죽어서 저승에 갔다. 저승에 먼저 간 백성의 영혼들은 포악한 세민황제의 원수를 갚아 달라고 저승왕에게 청원하였다. 저승왕은 이승에 사는 매일장상의 저승 궤에 돈이 가득 있으니 그 돈을 꾸어 저승 백성들의 빚을 갚으라고 하고는, 만인적선(萬人積善)과 활인지덕(活人之德)을 해야 저승 궤에 재산이 많아지는 법이니 이승으로 돌아가 만인적선을 하고 돌아오라고 일렀다.

저승왕의 말에 따라 세민황제는 이승으로 살아 돌아와, 즉시 만조백관의 조회를 열어 매일장상을 찾게 했다. 그 생활상을 보니, 매일장상은 짚신 장사와 술 장사를 하며 가난한 살림을 하면서도 신이나 술을 반값으로 팔아 적선을 하고 있었다. 세민황제는 그 적선한 돈이 저승 궤에 가득 차 있음을 깨닫고, 적선지도를 닦을 것을 다짐했다.

세민황제가 영의정에게 적선지도를 닦을 방법을 의논하니, 영의정은 극락세계에 있는 팔만대장경을 얻어 와야 한다고 하였다. 호인대사를 시켜 팔만대장경을 얻어 오게 한 다음, 세민황제는 매일장상에게 저승에서 꾸어 쓴 돈을 갚고, 모든 것을 매일장상과 의논하며 팔만대장경을 읽고 불법을 펴서, 활인적선지도를 마련하였다.

진성기 채록본은 매일장상이 매일이와 장삼이 부부로 표현된다는 점, 팔만대장경이나 불법에 대한 내용이 없다는 점, 매일이와 장삼 부부가 영암에 덕진다리를 놓고 극락에 갔다는 내용이 더 있다는 점 등이 다르다. 세민황제가 아닌 매일이와 장삼이 부부 중심의 이야기이다.

의의와 평가

이 이야기는 고소설 「당태종전(唐太宗傳)」과 유사하다. 다른 지역의 구비 설화와도 관련성이 파악된다. 예컨대 「덕진다리」 설화는 잘못 죽어 저승에 갔다가 '덕진'이라는 사람의 곳간에 쌓인 노적을 빌려 인정을 베풀고 이승에 돌아온 영암 원님이 이승의 덕진에게 그 빚을 갚으려 덕진강에 다리를 놓고 '덕진다리'라 하였다는 내용이다.

「세민황제본풀이」와 주요 서사가 겹칠 뿐 아니라, 진성기 채록본에는 아예 '덕진다리'가 등장하기도 한다. 본풀이의 형성과 고소설, 설화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흥미로운 자료로 주목된다. 불교적 요소도 드러나는바 무불복합(巫佛複合)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로 간주된다. 진성기 채록본에 보이는 '오날 오날 오날이라'라는 표현은 '오날이 오날이쇼셔'로 시작되는 「심방곡」에서 보듯 다른 갈래의 노래 가사에도 보이기 때문에, 시가사 차원의 영향 관계를 살피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원전

아카마쓰 지조, 아키바 다카시 공편, 심우성 역, 『조선무속의 연구(상)』(동문선, 1991)
赤松智城·秋葉隆, 『朝鮮巫俗の硏究』(大阪: 屋號書店, 1937)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민속원, 1991)

단행본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민속원, 2015)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집문당, 2005)

논문

강권용, 「제주도 특수신본풀이 연구」(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고은영, 「제주도 특수신본풀이의 성격과 의미」(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정제호, 「제주도 특수본풀이<세민황제본풀이>연구-매일과 장상 부부를 중심으로」(『한국무속학』 28, 한국무속학회, 2014)
집필자
정진희(아주대학교 특임교원,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