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웃음을 자아내는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이야기.
내용 요약

소화(笑話)는 웃음을 자아내는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이야기다. 이 웃음은 특정 대상과 장면을 향한 풍자나 비꼼, 조롱과 빈정거림처럼 공격적이거나 비판적인 성격을 띠기도 하고, 상황의 역설이나 기지에 대한 것으로 골계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소화에는 많은 수의 기록된 자료와 구전되는 자료가 있는데, 문헌 자료로는 고려 말의 패설집부터 조선시대 패설집과 야담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구전되던 소화가 문헌으로 기록되기도 하고, 때로는 문헌으로 기록된 소화가 다시 구술로 연행되기도 한다.

정의
웃음을 자아내는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이야기.
전승 및 채록

소화(笑話)는 웃음을 자아내는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이야기다. 이 웃음은 특정 대상과 장면을 향한 풍자(諷刺)나 비꼼, 조롱과 빈정거림처럼 공격적이거나 비판적인 성격을 띠기도 하고, 상황의 역설(逆說)이나 지혜에 대한 것으로 주52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소화에는 많은 수의 기록된 자료와 구전되는 자료가 있다. 문헌 자료는 고려 말의 패설집부터 조선시대 패설집과 야담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들 소화는 구전되던 이야기가 기록된 것이기도 한데, 때로는 기록된 이야기가 다시 구술로 연행(演行)되기도 한다. 소화 중에는 구성이 단순한 것도 있고, 서사적 구성을 어느 정도 갖춘 것도 있다.

문헌으로 기록 · 정리된 소화 자료집으로는 고려 말의 패설집인 이인로(李仁老)『파한집(破閑集)』 · 최자(崔滋)『보한집(補閑集)』 · 이제현(李齊賢)『역옹패설(櫟翁稗說)』 등이 있다. 이들 자료집에 실려 있는 이야기가 모두 소화인 것은 아니며, 소화 자료는 일부 실려 있다.

조선시대의 패설(稗說) 자료집에는 고려 말의 패설집보다 더 많은 소화가 실려 있다. 예를 들어 성현(成俔)『용재총화(慵齋叢話)』, 유몽인(柳夢寅)『어우야담(於于野譚)』, 이수광(李睟光)『지봉유설(芝峰類說)』, 어숙권(魚叔權)『패관잡기(稗官雜記)』, 이육(李陸)의 『청파극담(靑坡劇談)』, 서거정(徐居正)『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강희맹(姜希孟)『촌담해이(村談解頤)』, 홍만종(洪萬宗)『명엽지해(蓂葉志諧)』, 송세림(宋世琳)『어면순(禦眠楯)』, 성여학(成汝學)『속어면순(續禦眠楯)』, 장한종(張漢宗)의 『어수신화(禦睡新話)』, 편자(編者) 미상의 『파수록(破睡錄)』 · 『기문(奇聞)』 · 『성수패설(醒睡稗說)』 · 『진담록(陳談錄)』 · 『교수잡사(攪睡襍史)』 등은 상당수의 소화를 수록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이들 자료 가운데 789편의 이야기를 엮어 『고금소총(古今笑叢)』이라는 책으로 간행(刊行)했는데, 이 책에 실린 이야기의 다수가 소화라고 할 수 있다.

구전되는 소화는 연행 및 전승(傳承) 현장에서 보통 ‘우스갯소리’로 불린다.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이나 지역 내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려는 사명감으로 연행되는 전설류의 이야기와 달리, 우스갯소리는 이야기 내용을 즐기고 이야기 속 웃음을 만끽하려는 태도로 연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남녀가 함께 어우러져 이러한 부류의 이야기를 연행하는 경우는 드물고, 일반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가깝게 지내는 동성 집단 내에서 연행하는 경우가 많다. '우스갯소리' 연행을 즐기지만, 이를 겉으로 드러내 보이는 것은 조심스럽게 여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내용

소화는 인물에 얽힌 사건이나 어떤 장면을 간단한 일화(逸話)의 형태로 구성한 것들도 있고, 특정 인물의 비범(非凡)한 일상과 특이함을 여러 사건에 관한 일화들로 엮어 보여 주는 것들도 있다. 그밖에 웃음을 자아내는 골계적 장면이나 역설적 상황을 보여 주는 데 초점을 둔 형태로 구성된 이야기들도 있다. 또한 이른바 성적 농담이나 음담패설(淫談悖說)에 가까운 내용으로 구성된 소화들도 있다.

소화는 인물의 비범함을 드러내는 데 내용 전개의 목표를 두더라도, 전기적(傳奇的)인 교훈이나 인물의 생애를 통해 드러나는 남다른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진 않는다. 소화에서 주목하는 인물의 비범함은 통속적(通俗的) 관념이나 정상성 · 규범성 등을 벗어나는 의외성과 면모 · 상황에서 나오며, 이러한 의외성이 웃음을 유발하는 계기가 된다. 웃음의 계기가 되는 사건의 내용에 따라 소화는 치우담(癡愚譚) · 과장담(誇張譚) · 지략담(智略譚) · 우행담(偶幸譚) · 주21 · 기원담(起原譚) · 외설담(猥褻譚)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치우담은 어리석은 사람들의 이야기로, 소화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른바 ‘바보 이야기’로 지칭되기도 하는 유형의 이야기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주인공은 사위 · 며느리 · 남편 · 아내 · 아들 · 부모(시부모) · 형제 · 사돈 등 주로 가족 관계 속에서 나타나며, 때로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 등장하여 망각 · 오해 · 무분별로 인해 어리석은 행동을 저지른다. 「바보사위설화」 · 「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 · 「미련한 소금장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과장담은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이야기들을 과장하여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유발하는 이야기다. 주로 게으름 · 인색(吝嗇)함 · 거짓말(허풍) · 건망증 등 인간의 약점이 주요 소재이며, 그 행위가 상상을 넘어 크게 확대된다. 「새끼 서발」 · 「정신없는 사람」 · 「인색한 세 꼽재기의 내기」 · 「방귀쟁이 며느리」 등의 이야기가 여기에 속한다.

지략담은 명판(名判) · 주56 · 사기(詐欺) · 상전 놀리기 · 주29 · 주30 등과 같이 기지(機智)가 뛰어난 인간의 이야기이다. 「쥐가 둔갑한 며느리」 · 「원님의 명판결」 · 「대신 잡은 호랑이 꼬리」 · 「먹으면 죽는 곶감」 · 「스님과 꿀 항아리」 · 「바보 원님과 꾀보 이방」 등의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우행담은 우연한 행운으로 평민이나 바보가 뜻밖의 성공을 거두게 되는 이야기인데, 치병(治病), 실물(失物) 찾기가 주요 화소(話素)가 된다. 「떡보와 사신」 · 「지렁이고기에 눈뜬 어머니」 · 「다시 찾은 옥새」 등을 대표적 작품의 예로 들 수 있다.

풍월담은 시화(詩話) · 파자시(破字詩) · 주34 등 언어 · 문자의 유희(遊戲)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이며, 「하님과 중의 문답」 · 「말대꾸 잘하는 며느리」 · 「문자재담설화(文字才談)」 등의 이야기가 여기에 속한다.

외설담은 성적 욕망이나 성적 행위와 관련된 사건과 인물에 관한 이야기로 흔히 음담패설로 불리기도 한다.

소화는 대체로 사건 위주의 단편적(斷片的)인 서술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간혹 여러 사건이 연쇄적(連鎖的)으로 연결되거나 특정 상황이 쌓여 나가는 방식의 연쇄담(連鎖譚)이나 누적담(累積譚)의 형태를 띠는 소화도 있다. 과장담 · 지략담 · 우행담에 속하는 이야기들 중에 서사적 구성이 이와 같은 형태로 비교적 길게 이어지는 이야기들이 있다.

소화는 서사적 구성의 완결성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기 보다,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춘 상황의 특징적 장면을 통해 웃음을 자아내는 경우가 많다. 소화에 등장하는 웃음의 상황들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명칭의 순간적인 착각
  2. 인명의 순간적인 착가
  3. 가벼운 농담
  4. 부끄러움을 화를 내는 것으로 완화하기
  5. 무모한 주장
  6. 눈치 모르는 정직성
  7. 가벼운 농담
  8. 동음이의어에 의한 비유
  9. 농담을 농담으로 맞받기
  10. 알면서 모른 척하는 능청
  11. 화난 사람 앞에서 말 둘러대 위기 모면하기
  12. 뜻 없는 말로 둘러대 위기 모면하기
  13. 변통(變通)을 모르는 우직성
  14. 겁 많고 의심 많아 속임수에 넘어감
  15. 지나친 경쟁 심리
  16. 상식을 넘는 기행(奇行)
  17. 기행에 대한 기행 대응

소화의 주인공은 상식을 벗어난 비정상적인 인물이 대부분이다. 바보 · 사기꾼 · 구두쇠 · 게으름쟁이 · 건망증 환자 · 허풍쟁이 등이며, 이들 주인공이 그 이야기의 성격을 결정짓는다.

소화는 흔히 대립적인 수법을 사용하여 꾀가 있는 자와 어리석은 자를 등장시키고, 양쪽이 각각 승리와 패배를 맛보게 한다. 여기서 주인공의 행위가 정상인의 범주를 벗어날수록 그 이야기는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

소화는 이야기의 오락적 기능에 치중한 것으로, 때에 따라서는 교훈적인 요소나 윤리적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웃음을 자아내는 상황에만 집중하는 서술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때로는 등장인물이 지닌 차이를 결함이나 결핍으로 조롱하기도 하고, 이를 과장되게 공격함으로써 혐오의 시선을 드러내기도 한다.

소화의 웃음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정한 인지 정보나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문자의 특징을 활용하는 파자담’이나 한자어구 · 고사성어를 이해해야 웃을 수 있는 이야기들도 존재한다.

소화가 중에는 세태(世態)나 사회 모순을 고발하고 풍자하는 가운데 웃음을 자아내는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태평한화골계전』 하권에 수록된 아래 이야기는 관리의 수탈(收奪)과 부조리한 모습을 풍자적인 웃음을 통해 고발하고 있다.

옛날에 남쪽 한 고을에 탐욕스러운 수령(守令)이 관청의 공물을 몰래 집으로 빼돌리곤 했다. 어느 날 죄지은 백성이 물건으로 죄에 대한 처벌을 대신하게 되어, 아전(衙前)이 백성의 집으로 가서 송아지를 끌어왔다. 그러자 수령이 그를 꾸짖으며 말하길, “송아지는 돌려주고 주46으로 가져오라.”라고 하였다. 이에 백성이 화를 내며 말하길 “포목은 다리가 없는데도 너끈히 원님 댁으로 들어갔는데, 제 송아지는 다리가 넷이나 되는데 어찌 못 들어가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수령이 부끄러워하였다.

의의 및 평가

소화는 웃음의 카타르시스를 전승의 동력으로 삼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웃음은 단순한 쾌감을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고, 사회·정치적 의미를 담은 풍자와 해학(諧謔)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다. 웃음을 자아내는 상황이나 웃음의 매개가 되는 의미가 나아가는 방향에 따라, 웃음은 양가적(兩價的)인 성격을 띨 수 있다. 관습과 전통, 정상과 규범, 보편과 평범의 범주를 벗어난 인물의 행동이나 특징 · 태도 등이 자아내는 웃음은 그 속에 담긴 ‘차이’를 조롱하고 깎아내리느냐, 아니며 오히려 그 ‘차이’를 생산적 해체와 일탈(逸脫)의 유쾌한 반항으로 의미화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지향성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적 규범에 벗어난 한 인물의 행동을 통해 웃음을 자아낼 때, 성적 규범이나 특정 젠더의 주57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비판적이고 생산적인 웃음이 유발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정상으로 인식되는 범주나 규범에 미치지 못하는 ‘모자람’을 단순한 웃음거리로 삼아 조롱함으로써, 정상으로 인식되는 범주와 규범을 더욱 강화하는 효과를 만들어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웃음이 만들어 내는 모순과 역설은 단순한 상황처럼 보이지만, 반박할 여지를 남기지 않고 문제의 심각성이나 상황을 대하는 경직성(硬直性)을 날려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웃음은 가장 공격적인 수사적 장치로 기능할 수도 있다. 내가 가진 ‘차이’가 웃음거리가 되는 순간, 그 웃음이 공격의 의미를 띠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이에 대해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거나 비판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웃음의 서사는 가장 효과적인 사회정치적 공격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양반들의 탐욕이나 사회 계층의 부조리한 모순 등을 드러내는 이야기가 웃음을 동반할 때, 여기에 담긴 사회·정치적 공격성은 풍자로 드러난다.

참고문헌

원전

『용재총화(慵齋叢話)』
『어우야담(於于野譚)』
『지봉유설(芝峰類說)』
『패관잡기(稗官雜記)』
『청파극담(靑坡劇談)』
『태평한화 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촌담해이(村談解頤)』
『명엽지해(蓂葉志諧)』
『어면순(禦眠楯)』
『속어면순(續禦眠楯)』
『어수신화(禦睡新話)』
『기문(奇聞)』
『성수패설(醒睡稗說)』
『진담록(陳談錄)』
『교수잡사(攪睡襍史)』
『고금소총(古今笑叢)』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편 1-2(국립민속박물관, 2012)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1-12(평민사, 1987~1993)

단행본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1971)
조희웅, 『조선후기문헌설화의 연구』(형설출판사, 1980)
황인덕, 『한국기록소화사론』(태학사, 1999)
류정월, 『오래된 웃음의 숲을 노닐다 :조선시대 우스개와 한국인의 유머』(서강대출판부, 2006)
이강엽, 『바보설화의 웃음과 의미 탐색』(박이정, 2011)

논문

이강옥, 「패설과 소화, 패설 속의 소화」(『대동한문학』 24, 대동한문학회, 2006)
주석
주5

야담들을 모아서 묶어 놓은 책. 우리말샘

주6

말로 전하여 내려옴. 또는 말로 전함. 우리말샘

주7

말로 전하여 내려오다. 우리말샘

주8

입으로 말함. 우리말샘

주17

기이하여 세상에 전할 만한.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8

세상에 널리 통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9

주인공이 꾀를 내어 남을 속이거나 남에게 속는 것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주20

전통 설화의 한 유형. 우연한 행운으로 성공을 거두게 되는 이야기 유형으로, 주인공은 평민이나 바보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떡보와 사신>, <다시 찾은 옥새>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21

시인과 시 쓰기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설화. 우리말샘

주22

저속하고 품격이 낮은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27

훌륭하게 내린 판결 또는 판단. 우리말샘

주29

징계하여 다스림. 우리말샘

주30

묻는 대로 거침없이 대답함. 우리말샘

주31

병을 다스림. 우리말샘

주32

물건을 잃어버림. 또는 그런 물건. 우리말샘

주33

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우리말샘

주34

한시의 형식을 하고 있으나 우리말과 한자가 섞여 있어 언어 유희의 효과를 노리는 희작시(戱作詩). 작품에 사용된 한자는 때로는 뜻으로 풀어야 하고, 때로는 소리나는 대로 풀어야 한다. 우리말샘

주35

즐겁게 놀며 장난함. 또는 그런 행위. 우리말샘

주39

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우리말샘

주44

고려ㆍ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5

조선 시대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중앙 관서의 아전을 경아전(京衙前), 지방 관서의 아전을 외아전(外衙前)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샘

주46

베와 무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7

비극을 봄으로써 마음에 쌓여 있던 우울함, 불안감, 긴장감 따위가 해소되고 마음이 정화되는 일.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詩學)≫에서 비극이 관객에 미치는 중요 작용의 하나로 든 것이다. 우리말샘

주48

선의의 웃음을 유발하여 고통과 갈등을 극복하는 웃음의 정신. 풍자나 조롱과는 다르게 인간에 대한 긍정을 전제로 한다. 특히 한국 문학은 고전 문학에서부터 해학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49

두 가지 이상의 가치나 의미를 지닌.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51

사고방식, 태도, 분위기 따위가 부드럽지 못하여 융통성이 없고 엄격한 성질. 우리말샘

주52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 우리말샘

주53

주인공이 꾀를 내어 남을 속이거나 남에게 속는 것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주54

경우에 따라 재치 있게 대응하는 지혜. 우리말샘

주55

남의 결점을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고 공격함. 우리말샘

주56

어린아이의 지혜.

주57

정상의 범주에 속하는 성질.

집필자
김영희(연세대학교 교수,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