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경연고사 ()

목차
관련 정보
속경연고사
속경연고사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희조가 조선시대 다섯 명현이 경연에서 아뢴 말을 모아 1719년에 왕에게 올린 역사서. 경연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희조가 조선시대 다섯 명현이 경연에서 아뢴 말을 모아 1719년에 왕에게 올린 역사서. 경연록.
내용

5권 2책. 이 때에 자매편인 『동현주의(東賢奏議)』 8책도 함께 올렸다. 이 책의 내용은 조선시대의 명현(名賢) 다섯 사람이 경연에서 왕에게 아뢴 말을 모은 것으로, 각각 한 권씩이다.

제1책에는 간단한 범례와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의 말이 수록되었다. 제2책에는 이이(李珥)·성혼(成渾)·김장생(金長生)의 말이 실렸고, 맨 끝에 편자의 진소(進疏)가 있다. 또 각 권의 끝에는 편자의 논평이 있다.

책의 체제는 1682년(숙종 8)에 박세채(朴世采)가 편찬한 『정주경연고사(程朱經筵故事)』(일명 경연고사)를 모방했으므로, 제목에 ‘속(續)’이라는 말을 붙였다.

다만, 박세채의 것은 정자(程子)와 주자(朱子)가 경연관으로 있을 때 올린 말과 글을 함께 수록한데 비해 이희조의 것은 우리 나라 명현들의 말과 글을 따로 편집하였다. 즉, 5현의 말을 모은 것이 『속경연고사』이고 9현의 글을 모은 것이 『동현주의』이다.

이 책은 다섯 사람의 문집에 실린 「경연주의(經筵奏議)」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조선왕조실록에 없는 대목도 있고, 보다 더 상세한 부분도 있다. 각자의 「경연주의」가 본래 연월일순으로 정리되었고, 그 때의 관직을 명시했으므로 참고하기에 편리하다.

수록된 이들은 주로 16세기에 활동한 학자·정치가들로서, 이들이 경연에서 한 말은 당시의 정치사상을 그대로 반영한다. 영조 10년(1734) 9월에 왕이 전라감영에 명해 『속경연고사』와 『동현주의』를 간행하게 했는데, 이것이 현재 전해지는 판본으로 추측된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남계집(南溪集)』
『정암집(靜菴集)』
『퇴계집(退溪集)』
『율곡집(栗谷集)』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권연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