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명당기 ()

목차
고려시대사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도선이 개성을 만월형의 길지로 풀이하여 전파한 도참서.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도선이 개성을 만월형의 길지로 풀이하여 전파한 도참서.
내용

개성(송악)을 만월형의 길지(吉地)로 풀이하고 있다. 즉, 개성은 북으로 송악·천마(天摩)·성거(聖居) 등 산악의 천험이 있고, 좌우로 임진(臨津)·예성(禮成)의 두 강이 흐르며, 강화·교동의 섬들이 앞바다에 방파제처럼 널려 있어 웅위한 육해의 형승이 국도(國都)로서의 명당이라 하였다.

그리고 송악명당은 마두명당(馬頭明堂)·부소명당(扶蘇明堂)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한편 『송악명당기』는 전체적인 내용은 전하는 바가 없고 그 일부만이 알려져 있으며, 고려시대 지리도참사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기록의 하나로 이궁설치나 천도설이 제기될 때마다 주목되기도 하였다.

그 내용에 “서강(西江 : 예성강)가에 군자어마형(君子御馬形)의 명당터가 있는바, 태조가 통일하던 병신년(936)으로부터 2회갑, 즉 120년 뒤(1056)에 이 자리에 궁궐을 지으면 국업(國業)이 연장되리라.”라는 기록이 있어, 1056년(문종 10)에 태사령(太史令) 김종윤(金宗允) 등에게 명하여 정주(貞州) 예성강변 병악(騈岳) 남쪽에 장원정(長源亭)이라는 이궁을 지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사(韓國史)-중세편(中世篇)-』(이병도, 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연구(硏究)」(이병도, 『한국문화총서(韓國文化叢書)』4, 194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