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애문집 ()

송애문집
송애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경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경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김경여의 증손 김정운(金鼎運)에 의하여 몇 권의 유고가 수집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간행되지 못하다가, 1871년(고종 8) 8대손 김정원(金鼎源)이 유고를 다시 수집하여 6권의 원집을 편집·간행하였다. 1936년 8대손 김철원(金喆源)이 속집 2권을 추가로 수집하여 총 8권 3책으로 중간하였다. 권말에 김정원의 구발(舊跋)에 이어 김철원의 중간 발문이 있다. 1983년 송애김경여선생기념사업회에서 새로 발굴된 국문 필사본의 전기 「김경여전」을 추가하여 국역 영인본을 발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8권 3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원집 권1에 시 10수, 권2에 소(疏) 15편, 계(啓) 29편, 권3에 서(書) 20편, 제문 3편, 잡저 2편, 권4는 습유(拾遺)로 부(賦) 12편, 표(表) 2편, 명(銘) 1편, 권5·6에 부록으로 연보·사제문(賜祭文)·제문·만사·존주휘편열전(尊周彙編列傳)·황조배신전(皇朝陪臣傳)·신도비명·시장(諡狀)·정절사철향고문(靖節祠腏享告文)·춘추향축문(春秋享祝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속집 권1에 계(啓) 8편, 서(書) 11편, 책(策) 1편, 권2에 부록으로 사제문·만사·가장략(家狀略)·묘지·신도비추지(神道碑追識)·기술(記述)·상량문·중수기·구발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의 시는 만사가 대부분이고, 기타 증별(贈別)·차운류의 시가 몇 수 있다. 만사에는 판서 송국전(宋國銓)과 대사간 이사경(李士慶)에 대한 것이 있다. 소는 대부분 사직소(辭職疏)인데, 그 가운데 「유소(遺疏)」는 죽음에 임하여 군학(君學)과 시무(時務)에 대하여 진언한 내용으로 충심(忠心)이 간절하다.

계의 「청침인경궁수리대군제택영선지명계(請寢仁慶宮修理大君第宅營繕之命啓)」는 1633년(인조 11) 사헌부지평으로 있을 때 제진한 것이다. 변방이 소란하고 민심이 불안한 시점에서 인경궁을 수리하고 대군의 집을 짓는 것이 부당함을 주청한 내용이다. 「청가죄최명길계(請加罪崔鳴吉啓)」는 앞뒤 문장이 생략된 채 수록되어 있으나 청나라와의 화의에 앞장섰던 최명길을 논죄한 내용이며, 「양사청원찬김자점계(兩司請遠竄金自點啓)」는 1649년(효종 즉위년) 김자점의 죄를 재론하여 원찬할 것을 진언한 것이다. 당시의 정치적 혼란기를 맞아 파벌간의 갈등을 은연중 암시하며 벼슬을 사퇴하겠다는 뜻을 비친 인피계(引避啓)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윤문거(尹文擧) 등에게 보낸 서찰이 있는데, 대개 국사를 걱정하는 한편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제문에는 김장생(金長生)과 장인인 이귀(李貴)의 죽음을 애도한 것이 있다. 습유 중 「안민시갑병부(安民是甲兵賦)」는 국방이 최우선임을 강조한 내용으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부에는 「유선침부(遊仙枕賦)」와 같이 문학적 수상을 표현한 것도 보인다. 국역 영인본의 「김경여전」은 김경여의 일생을 주축으로 당대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소설적 구성을 갖추고 있어 소설사 연구에 참고할 만한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명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