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왕 ()

수로왕
수로왕
고대사
인물
금관가야의 제1대(재위: 42년~199년) 왕.
이칭
이칭
김수로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99년
출생지
가락국
정의
금관가야의 제1대(재위: 42년~199년) 왕.
개설

재위 42∼199. 수릉(首陵)이라고도 한다.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탄생과 치적에 관해서는 『삼국유사』에 실린 「가락국기」에 전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직 나라가 없던 시절에 가락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각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는데, 3월 어느 날 하늘의 명을 받아 9간(九干: 族長) 이하 수백 명이 구지봉(龜旨峰)에 올라갔다. 그 곳에서 하늘에 제사 지내고 춤추고 노래하자 하늘에서 붉은 보자기로 싼 금빛 그릇이 내려왔는데, 그 속에는 태양처럼 둥근 황금색 알이 6개 있었다. 12일이 지난 뒤 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왔기 때문에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다른 남아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때가 42년(후한 건무 18)이었다고 한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해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받아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아유타국(阿踰陀國)의 왕녀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157년을 재위하다가 죽었는데, 아들이 그 뒤를 이어 거등왕이 되었다.

평가와 의의

그러나 이것은 신화적 내용이어서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 신화는 구조상으로 볼 때, 신성한 왕권의 내력을 풀이한 천강난생(天降卵生) 신화로서 한국 고대 국가 성립기에 흔히 보이는 건국 시조 신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황금빛 천강 등으로 상징되는 북방으로부터 이주해 온 유이민 집단이 낙동강 하구 유역의 토착 선주민들과 결합해 초기 국가를 형성했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아울러 수로가 6개의 알 중에서 제일 먼저 나왔다는 표현은 가락국(금관가야)을 중심으로 가야 제국을 통합하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신화에서 3월에 목욕재계하고 잡스러움을 떨쳐 버리는 발계(祓禊) 의식을 거행한 뒤, 구지봉과 같은 성스러운 곳에 모여 하늘에 제사하고 춤과 노래로 의식을 베풀어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며, 그 곳에서 집단의 수장(首長)을 선출하고, 이 때 뽑힌 수장은 하늘로부터 권위를 부여받는 것으로 여겼던, 국가체 형성 이전 단계의 소박한 사회 풍속과 정치 운영의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수로왕이란, 곧 이러한 단계에서 김해 지역에 존재했음직한 수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수로왕은 금관가야가 신라에 합병된 후에도 가야의 시조로서 계속 봉사(奉祀)되었다. 문무왕은 수로왕릉의 위전(位田)을 설치해 후손에게 능묘의 제례를 계속하게 했으며, 그것은 고려시대에 와서도 계속되었다. 최치원의 「석이정전(釋利貞傳)」에서는 금관가야의 시조를 뇌질청예(惱窒靑裔)라고 해 서로 비교가 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가야연맹사』(김태식, 일조각, 1993)
「수로왕고」(이병도, 『역사학보』17·18합집, 1962;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