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제 ()

목차
민간신앙
의례·행사
고구려에서 수신을 모시고 치르던 공동제사 형식의 국가의례.
목차
정의
고구려에서 수신을 모시고 치르던 공동제사 형식의 국가의례.
내용

오늘날의 별신굿이나 도당굿 등 동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구려신화 및 왕조전설과 결부되어 그 기층구조를 이루었던 제의이기도 하다. 그러한 뜻에서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언급된 가야의 신맞이굿과 함께 한국종교사에서 차지하는 몫이 매우 크다.

그러나 수신은 천신(天神)이 상자에 담겨 하강하였다고 하는 가야와 신라의 신들과는 달라서, 수혈(隧穴;동굴)이라는 성혈(聖穴) 안에 목각신상을 신체(神體)로 하여 모셔진 굴신(窟神)이다.

그리고 수신이 주몽(朱蒙), 즉 동명왕이라고까지 단언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그러나 수신과 신격화된 동명왕은 몇 가지 면에서 상당히 비슷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① 수신이 굴혈신이 듯이 동명왕도 기린굴을 드나드는 신화적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기린굴을 통하여 동명왕은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하였다고 하는 것이다.

② 수신제가 시월에 벌어지는 국가적 규모의 큰 행사이었듯이 동맹(東盟) 역시 같은 시기에 같은 공동체 안에서 치러진 종교행사이었으므로 그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음이 틀림없고, 아울러 동맹은 동명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일부 기록은 동맹을 아예 ‘동명’으로 적어놓았다.

③ 등고신(等高神)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진 동명왕의 신상(神像)이 목각이듯이 수신 역시 목각신상이었다. 이러한 유서한 점으로 말미암아 곧 동명왕과 수신을 동일시할 수는 없겠지만, 그들 사이에서 드러나는 신체상의 공통성으로 미루어보아 그 둘에 관한 종교행사도 성격이 서로 비슷하였으리라고 볼 수 있다.

즉 수신제도 동맹(동명)과 마찬가지로 공동체 내지는 국가의 수호신에게 바쳐진 공동제의이었을 것이며, 그 시기가 시월인 것으로 보아 수확을 기념하면서 풍요를 기원하는 제의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정해진 날에 일정한 절차를 거쳐 신맞이를 하여 제의를 치르고 다시 그 신을 원래의 자리로 송배(送拜;숭배하여 보내는)하는 제의를 벌였다고 하는데, 이러한 절차는 동제의 기본구조와 일치하며 뒷날 고려에까지 전해진 팔관회(八關會)의 원형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한국의 향토신앙』(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집필자
김열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