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대 ()

근대사
제도
갑오개혁 때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도성 경비와 궁궐 수비를 전담하던 부대.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1895년(고종 33) 5월
폐지 시기
1907년(광무 11) 8월
내용 요약

시위대는 갑오개혁 때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도성 경비와 궁궐 수비를 전담하던한 부대이다. 1895년(고종 33)부터 1907년(광무 11)까지 도성 경비와 궁궐 수비를 전담하기 위하여 연대급 부대로 편성하였다. 중앙군의 주력 부대로 보병, 포병, 기병 등으로 구성되었다. 1907년(광무 11)에 정미7조약으로 군대를 해산하면서 해체되었다.

정의
갑오개혁 때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도성 경비와 궁궐 수비를 전담하던 부대.
제정 목적

1895년(고종 33) 윤 5월 25일 칙령 제120호로 주1의 감독을 받아 도성 경비와 궁궐 수비를 전담하기 위하여 주2 2개 대대로 편성되었고 군부대신이 지휘하였다. 이는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이른바 '3국 주3'에 따라 일본 세력이 약해지자 그간 추진되었던 갑오개혁 시기의 일본식 군제 영향력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었다.

내용

시위대 간부는 연대장 1명( 부령), 대대장 2명( 참령), 부관 2명( 부위), 향관 2명(정위), 중대장 4명(정위), 소대장 14명(부참위)으로 구성되었다. 편제는 2개 대대이며, 각 대대에는 2개 중대를, 각 중대에는 3개 소대를 두었다.

1896년(고종 34) 2월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 군제가 도입되면서 러시아에서 초빙한 군사교관 푸챠타에게 훈련받은 군사들로 시위대를 다시 조직하였다. 이후 1897년(고종 35) 3월 16일에 조칙에 따라 친위 1, 2, 4, 5대에서 선발한 정예 병사를 훈련시켜 1개 대대급 규모로 다시 창설하였으며, 같은 해 9월 30일 기존 1개 대대(제1대대)와 새로 선발한 병사 1개 대대(제2대대)로 하여 모두 2개 대대로 증편하였다. 시위대는 대한제국이 성립된 이후인 1898년(광무 2) 5월 27일 기존의 2개 대대에 1개 대대를 추가하여 모두 3개 대대 규모의 시위연대로 확대 편제되었다.

시위대는 보병 가운데 1개 중대를 차출하여 포병(砲兵)을 설치하였다. 이 때 처음 설치된 포병은 참령(포병대장) 1명, 정위(중대장) 1명, 부참위(소대장) 4명, 정교 2명, 부교 5명, 참교 8명, 병졸 185명으로 구성되었는데, 처음 설치 시에는 당분간 군부 포공과장의 지휘를 받도록 하였다. 포병이 다루는 화기는 주4와 크라프[克盧伯]였고, 이들 부대는 시위 제1연대에 부속시켰다. 1899년(광무 3) 8월의 칙령에 따라 11월 모두 424명의 인원을 갖춘 시위 기병 1개 대대가 구성되었다.

변천사항

1900년(광무 4) 9월에 시위대는 2천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02년(광무 6) 10월 19일에 1개 대대를 추가로 설치하여 시위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시위 제1연대로, 시위 제3대대와 추가로 설치된 1개 대대는 시위 제2연대로 하여 모두 2개 연대 규모를 갖추었다.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1905년(광무 9) 4월 22일 칙령 27호로 시위 보병 제1연대 편제가 제정되어 시위대는 시위 2개 연대를 보병만으로 이루어진 1개 연대로 감축되었다. 이후 1907년(광무 11) 4월에 시위 보병 연대는 다시 3개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같은 해 8월에 정미7조약에 따른 군대 해산령으로 서울의 시위대를 비롯한 지방의 진위대 등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시키면서 폐지되었다. 그러나 시위대 제1대대 대장 박승환의 자결을 계기로, 해산된 시위대 군인들은 무장 시가전으로 항쟁하였고, 이는 항일 무장 투쟁으로 발전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관보(官報)』
『뎨국신문』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단행본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근현대 I(경인문화사, 2012)
서인한, 『대한제국의 군사제도』(혜안, 2000)
송병기 · 박용옥 · 박한설 편저, 『한말근대법령자료집』-1(국회도서관, 1970)

논문

조재곤, 「대한제국기 군사정책과 군사기구의 운영」(『역사와현실』 19, 한국역사연구회 1996)
주석
주1

조선 후기에 둔, 군부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2

군대 편성 단위 가운데 연대에 해당하는 급.    우리말샘

주3

1895년에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간섭하여, 일본이 청일 전쟁의 결과로 얻은 랴오둥반도를 청나라에 돌려주게 한 일.    우리말샘

주4

예전에 쓰던, 강선을 넣은 포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재곤(서강대 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