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십성 ( )

목차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활동한 10명의 대표적인 불교인.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활동한 10명의 대표적인 불교인.
내용

신라의 십성(十聖)은 불교와 관련된 인물, 즉 아도(阿道)·염촉(厭髑, 異次頓)·혜숙(惠宿)·안함(安含)·의상(義湘)·표훈(表訓)·사파(蛇巴)·원효(元曉)·혜공(惠空)·자장(慈藏)을 지칭한다. 이 열 명의 인물 중 아도와 염촉, 표훈을 제외하면 모두 신라 중고기에 활동했던 고승들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흥법(興法)」편 ‘동경 흥륜사 금당 십성(東京興輪寺金堂十聖)’조를 보면 이들은 신라 최초의 사원이며 법흥왕의 원찰이었던 흥륜사에 이소(泥塑: 진흙으로 빚어 만든 인형)의 형태로 봉안되어 있었다고 한다. 법당에는 주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하여 동쪽 벽에는 아도·염촉·혜숙·안함·의상이, 서쪽 벽에는 표훈·사파·원효·혜공·자장이 배치되어 있었다. 십성은 신라에서 불교의 정착과 대중화, 그리고 국가불교의 성립에 기여한 고승들로 선정되었다. 이들이 흥륜사에 봉안된 시기는 염촉에 대한 추모사업이 활성화되고 아울러 선종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던 헌덕왕대나 흥덕왕대 무렵으로 추정된다.

십성의 생애와 활동상을 간략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아도의 모친은 고구려 사람인 고도령(高道寜)이며 부친은 조위(曺魏)에서 온 아굴마(我崛摩)이다. 그는 미추왕 때 신라로 건너와 일선현의 모록(毛祿)의 집에 거주하며 불교를 전파하였는데, 신라 불교 개척의 선구자로 평가되고 있다. 염촉의 성은 박씨이며 법흥왕 때 사인(舍人)의 직책에 있었다. 법흥왕이 절을 짓는 것을 신하들이 반대하자 왕을 도와 순교함으로써 불교가 번성할 수 있는 초석을 닦았다. 혜숙과 안함은 진평왕 때에 활동했던 고승이다. 혜숙은 신이(神異)한 자취를 많이 남겼고 안함은 중국에서 구법(求法)하고 돌아와 신라 불교의 교학을 발전시켰다. 의상은 중국 종남산(終南山)의 지엄(智儼)에게 화엄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 화엄종을 개창한 고승이다. 자장은 선덕여왕 때 대국통(大國統)을 지낸 승려로 황룡사 구층탑의 조성을 건의하였다. 혜공은 원효와 함께 활동했던 고승으로 대중들에게는 부궤화상(負簣和尙)이라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원효는 일심과 화쟁사상을 중심으로 불교의 대중화에 노력했던 고승이다. 사파는 사복이라고도 하는데, 원효와 친분이 있었던 고승이다. 그의 어머니가 죽었을 때 원효와 함께 장사를 지냈는데 사파가 어머니의 시신을 지고 연화장계(蓮花藏界)로 들어갔다고 한다. 의상의 제자인 표훈은 경덕왕대에 활동하였다. 그는 하늘의 상제와 수시로 교류할 만큼 신통력이 있었다. 『삼국유사』 「기이(紀異)」편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조에 따르면 표훈 이후로는 신라에 성인이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송고승전(宋高僧傳)』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신라 하대 흥륜사와 금당십성의 성격」(한기문, 『신라문화』20, 1999)
「원화첩」(이기백 편, 『한국상대고문서자료집성』, 198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