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 ()

춘천 신숭겸 묘
춘천 신숭겸 묘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였으며, 후백제군과의 공산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다 전사한 무신 · 공신.
이칭
시호
장절(壯節)
이칭
신능산(申能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927년(태조 10)
본관
평산(平山)
출생지
전라도 곡성(혹은 강원도 춘천)
내용 요약

신숭겸은 고려전기 고려개국공신 1등에 책록된 공신이다. 출생일은 미상이며 927년(태조 10)에 사망했다. 궁예 말년에 홍유·배현경·복지겸과 함께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해 개국일등공신에 봉해졌다. 927년 견훤이 신라를 공격해 경애왕을 죽이고 갖은 만행과 약탈을 일삼자, 분개한 태조가 사신을 신라에 보내 조문하고 동시에 친히 군사 5천을 거느리고 대구의 공산에서 견훤을 맞아 싸웠다. 이 싸움에서 태조가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어 위급하게 되었을 때, 신숭겸은 대장으로서 원보·김락과 함께 힘써 싸우다가 전사했다.

정의
고려 전기에,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였으며, 후백제군과의 공산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다 전사한 무신 · 공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초명은 신능산(申能山). 평산(平山) 신씨(申氏)의 시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라도 곡성현(谷城縣) 출신으로 태조(太祖)가 평산에서 주1하였다고 하고, 『고려사』 열전(列傳)에는 광해주(光海州: 지금의 강원도 춘천) 사람이라 하였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인물조(人物條)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으며, 또한 그의 묘가 춘천에 있는 것 등으로 보아, 본래 곡성 출신으로 뒤에 춘천에 옮겨와서 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몸집이 장대하고 무용(武勇)이 뛰어나 궁예(弓裔) 말년에 홍유(洪儒) · 배현경(裵玄慶) · 복지겸(卜智謙)과 함께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해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봉해졌다. 태조 즉위 후 7, 8년 동안 소강상태였던 후백제와의 긴장관계는 견훤(甄萱)이 신라를 공격함으로써 악화되었다. 927년 견훤이 고울부(高鬱府: 지금의 경상북도 영천)를 습격하고, 신라를 공격해 경애왕(景哀王)을 죽이고 갖은 만행과 약탈을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태조는 크게 분개해 사신을 신라에 보내어 조제(弔祭)하는 동시에 친히 정기(精騎) 5천을 거느리고 대구의 공산(公山) 동수(桐藪)에서 견훤을 맞아 싸우게 되었다. 그러나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어 태조가 위급하게 되었을 때, 대장(大將)이 되어 원보(元甫) 김락(金樂)과 더불어 힘써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간신히 위기를 벗어난 태조는 신숭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해 시호를 장절(壯節)이라 하였다. 또한 아우 신능길(申能吉)과 아들 신보(申甫)를 모두 원윤(元尹)으로 삼고, 지묘사(智妙寺)를 창건해 그들의 복을 빌게 하였다. 994년(성종 13) 4월에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사 개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주2되었다. 신숭겸의 행적을 기록한 『평산신씨장절공유사(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는 1120년 예종이 신숭겸과 김락을 추도하며 지었다는 「도이장가(悼二將歌)」라는 향가가 전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상촌고(象村稿)』
주석
주1

임금이 공신에게 성(姓)을 내려 주던 일. 또는 그 성.    우리말샘

주2

공신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