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서원 ()

목차
관련 정보
임실 신안서원 전경
임실 신안서원 전경
유적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에 있는 조선전기 한호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500220000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명칭
신안서원
원어
新安書院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22호
지정일
1984년 04월 01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신안리 447번지
경도
127.239209719444
위도
35.6000004597633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50022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에 있는 조선전기 한호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내용

1588년(선조 21)에 한호겸(韓好謙)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그의 제자가 신안사(新安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자 1669년(현종 10)에 중건하였으며, 1788년(정조 12)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송경원(宋慶元) · 한필성(韓必聖) · 한명유(韓鳴愈) · 강백진(康伯珍) · 송시태(宋時態)를 추가 배향(配享:학덕 있는 사람의 神主를 모시는 것)하였다.

1819년(순조 19)에는 함평의 자양서원(紫陽書院)에 안치된 주희(朱熹)의 영정을 이곳으로 옮겨와 주벽(主壁)으로 봉안함과 동시에 ‘신안(新安)’이라고 사액(賜額)되어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52년(철종 3)에 이서(李舒)를, 1860년에 김수(金洙)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자, 주희의 영정 1본과 모사본 1본은 용담(龍潭)의 삼천서원(三川書院)으로 옮기고, 김수의 영정은 서울 본가로 보냈으며, 서원의 전답 6마지기는 매각 처분하여 임실향교로 귀속시켰다.

그 뒤 1901년 유림에 의하여 유허지에 제단을 마련하고 향사(享祀:제사)를 계속해오다가 1958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신문(神門), 4칸의 강당, 3칸의 동재(東齋), 4칸의 고사(雇舍), 창고, 대문 등이 있다.

사우의 중앙에는 주희의 위패를 봉안하였고, 동서 양쪽에 각각 4명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강당의 중앙에는 마루가 있고 양쪽에는 협실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의 토론장소로 쓰였다. 동재는 수학하는 유생들이 거처하는 곳이며, 고사는 서원 관리자의 사택으로 사용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봄 · 가을로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제사에 쓰는 음식)은 4변(籩) 4두(豆)이다. 1984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유물로는 《당옹실기 戇翁實記》 1책 등 10여 종의 문헌이 있다. 재산으로는 대지 160평, 전답 3,900여 평, 임야 600여 평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전고대방(典故大方)』
『호남지』(오학근, 1936)
『신안서원지』(신안서원, 196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완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