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전 ()

목차
관련 정보
신자전 / 조선광문회
신자전 / 조선광문회
언어·문자
문헌
1915년 조선광문회가 종래의 옥편을 신시대에 맞게 개편한 자전.
목차
정의
1915년 조선광문회가 종래의 옥편을 신시대에 맞게 개편한 자전.
내용

4권 1책. 총 246장(492면). 종래의 옥편을 신시대에 맞게 개편하여 신문관(新文館)에서 출판한 대역사서(對譯辭書)이다. 표제자만 6,000여자를 수록한 근대적 획인자전(劃引字典)으로서 착수한 지 5년 만에 완성하였다.

유근(柳瑾)과 최남선(崔南善)의 서에 의하면, 유근의 주관하에 이인승(李寅承)·남기원(南基元)의 도움으로 편찬되었으며, 한자의 새김은 주시경(周時經)과 김두봉(金枓奉)이 정성스레 마음을 썼고, 인쇄상 자획의 교감 등은 신문관 최성우(崔誠愚)의 힘이 컸다.

이 자전은 청나라의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대본으로 하고, 내외고금의 자전류를 참작하여 시대에 맞도록 빼고 더하고 바로잡아서 된 것이며, 국내 옥편은 1800년대에 성행하던 『전운옥편(全韻玉篇)』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그 서와 전례(典例)에 밝힌 대로 한자의 자획을 바로잡고, 진보적인 사전의 형식에 따라 종래에 없던 주석의 용례를 경서(經書)에서 인용하였으며, 특수한 것은 삽화를 넣어서 주석을 보충하고, 끝에 조선 속자·신자(新字)를 거둔 점 등이다. 특히 인용은 주석을 실증하는 성격이므로, 한자의 주석 하나하나가 처음부터 새로 하는 작업과 같았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이 자전은 지석영(池錫永)의 『자전석요』(1909)를 많이 참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앞서서 『강희자전』을 근거로 『규장전운』의 자음을 따르고, 속음(俗音)을 병기하는 동시에, 3국의 속자를 이미 수록하였으며, 부수(部首) 배열에 딸리는 검자(檢字)의 내용이 서로 거의 같았기 때문이다.

다만, 그 뒤 일제강점기의 여러 옥편이 그것을 추종하였지만, 이 『신자전』은 그 위에 『전운옥편』의 결함을 시대에 맞게 개선하면서 주석에 공을 들여 가장 충실하고 현대적인 사전이 되었다.

참고문헌

『육당최남선전집(六堂崔南善全集)』(육당전집편찬위원회, 1973·1975)
「신자전(新字典) 용언(用言)의 훈석(訓釋)」(황선봉,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76)
「육당(六堂)의 신자전(新字典)에 관(關)한 연구(硏究)」(김종훈, 『아카데미논총』3, 1975.12.)
「신자전(新字典)의 한자음연구(漢字音硏究)」(오종갑, 『영남어문학』2, 1975.11.)
집필자
김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