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민주당 ()

목차
정치
단체
1945년 2월 7일에 조직된 단체.
목차
정의
1945년 2월 7일에 조직된 단체.
내용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지도층에 불만을 품은 홍진(洪震)·유동열(柳東說)·유진동(劉振東)·안원생(安原生) 등이 일부 조선민족혁명당원(朝鮮民族革命黨員) 등과 조직하였다. 조직은 주석단제(主席團制)를 채택하였으며, 주석단이 당의 최고기관이었고 홍진·유동열, 그리고 김붕준(金朋濬)이 주석이 되었다.

그 아래 4명의 상무위원에는 김원서(金元敍)·안원생·유진동·신기언(申基彦)이 당선되었고, 조직부·선전부·재정부·비서부의 4부 부장은 상무위원이 겸임하였다.

당원 수는 20명 안팎으로 이 당은 설립 초부터 귀국할 때까지 짧은 기간 동안 존속하였기 때문에 당세 확장에는 별진전이 없었다. 이 당의 조직동기는 창립선언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당은 전민(全民)이 공동으로 마땅히 앞으로 하여야 할 임무의 집단행동을 수행하는 데 있으며, 같은 사상이나 같은 주의, 혹은 어떠한 계급의 정치단체는 결코 아니며 정권을 욕망하는 정당도 아니며, 민족을 구하고 맹국(盟國)을 광복하고 민주를 실천하는 애국주의의 결사(結社)”라고 밝히고 있다. 이 당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할 일을 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당의 조직구호로 내세웠다.

따라서 이 당의 조직준비 기간 중, ① 모든 힘으로 국내민중을 급속히 조직하고 또한 발동하여 전면적으로 기의(起義)하게 하고 유격전쟁을 연합군과 상호합작한다. ② 각지에 산재하여 있는 무장역량을 적극적으로 확대, 공고히 하며 적중에서 압박받고 있는 백만 무장동포들의 반정(反正)을 쟁취하도록 강대한 작전무대를 편성한다.

③ 동포들에게 호소하여 모두가 수시로 지역에 따라 적의 시설물을 파괴하고 적정(敵情)을 살피며 적에 대하여 파업·태업으로 불합작운동을 전개한다. ④ 신속히 재난과 빈고(貧苦)의 동포를 구제하는 운동을 조직하고 또한 발동한다.

⑤ 최단기간 내에 적당한 지점에서 국내외의 민주영수(民主領袖)들을 초청하여 독립운동자대표대회를 개최하고, 절박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때가 되면 정권을 회수할 필요한 조처를 한다는 다섯 가지의 구체적인 임무를 설정하였다.

이 당은 대내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를 개혁하자는 주장이 있었으므로, 해외의 독립운동자대표대회를 소집하는 책략을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임시의정원은 어쩔 수 없이 각 당 통일회의를 거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대외적으로 이 당은 적후활동(敵後活動)의 공작을 특히 중시하였는데, 이 계획은 중국군사기관의 환영을 받았기 이 때문에 당의 경비 일부를 중국군통국(中國軍統局)으로부터 받았다는 설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자료』 3(국사편찬위원회, 1973)
『중국 안의 한국독립운동』(호춘혜(胡春惠)저, 신승하역,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8)
집필자
이연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