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강원도관찰사, 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일삼(日三)
설천(雪泉), 천곡(泉谷)
시호
사간(思簡)
이칭
평양백(平壤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44년(충혜왕 5)
사망 연도
1421년(세종 3)
본관
광주(廣州)
주요 관직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강원도도관찰사|평양백(平壤伯)
정의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강원도관찰사, 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소목(少目). 자는 일삼(日三), 호는 설천(雪泉)·천곡(泉谷). 아버지는 안기(安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고려 우왕 초 생원에 합격하고, 1380년 (우왕 6) 식년문과에 동진사(同進事)로 급제하여 보문각직학사(寶文閣直學士)를 거쳐 상주판관이 되어 청렴한 이름을 떨쳤다.

조선 개국 후, 1393년(태조 2) 청백리에 뽑혀 송경유후(松京留後)에 임명되었을 때, 자신이 대대로 고려에 벼슬한 가문으로서 어찌 다른 사람의 신하가 되어 송경에 가서 조상의 영혼을 대하랴 하고 궁전 기둥에 머리를 부딪치며 통곡하였다. 태조가 이 사람을 죽이면 후세에 충성하는 선비가 없어진다 하고, 죽이려는 좌우를 제지하고 안성을 급히 붙들어 내보냈다 한다.

1396년 봉상시소경(奉常寺少卿)으로서 정희계(鄭熙啓)의 시호를 잘못 지어 축산(丑山)에 유배되고, 1400년(정종 2) 중승(中丞)을 거쳐 지보주사(知甫州事)가 되었다. 1411년(태종 11)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강원도도관찰사가 되었으며, 벼슬이 참찬에 이르고 평양백(平壤伯)에 봉해졌다. 뒤에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사간(思簡)이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대동기문(大東奇聞)』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박천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