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로당일집 ()

목차
관련 정보
야로당집
야로당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4년 후손 창화(昶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규(李晩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장희원(張熹遠)·박익래(朴翼來)·이창화(李昶和)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수에 「가세원류(家世源流)」가 있고, 권1에 시 11편, 서(書) 4편, 잡저 2편, 제문 5편, 행장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輓) 6편, 제문 4편, 서(書) 7편, 행록·가장·행장·묘갈명·묘표·묘지명 각 1편, 문(文) 4편, 녹(錄)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정구(鄭逑)를 비롯한 동문간의 증시와 만시이다. 「등가야산(登伽倻山)」은 자연경관에 대한 서경(敍景)의 표현기교가 높으며, 「유감(有感)」은 자기 부인이 늙고 병들어 죽음에 대한 고뇌를 표현한 감상적인 내용이다.

서에 있어서 이황(李滉)에게 보낸 문목(問目)에는 상례(喪禮)·제례(祭禮) 등에 관한 11항목의 질문과 이에 대하여 이황이 답변한 내용까지를 수록하고 있어 예론(禮論)연구의 참고자료가 되며, 방백(方伯)에게 올린 서찰에서는 성주가 경상우도의 울타리로 군사적 요충인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잡저의 통유문(通喩文)은 그가 소모장(召募將)으로서 도민들에게 창의하여 각기 요새를 근거삼아 왜적과 싸울 것을 호소하는 내용이며, 「서중문(誓衆文)」은 사군사친(死君死親)의 충절로 왜적을 물리쳐 국치를 설욕하자는 맹세의 글이다.

부록에는 정구·장현광(張顯光)으로부터 온 서찰 7편이 포함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윤혁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