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어은유고
어은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오국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오국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873년(고종 10) 후손 인손(麟孫)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근수(宋近洙)의 서문, 권말에 김상현(金尙鉉)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사(辭) 1편, 시 126수, 서(書) 30편, 잠(箴) 2편, 명(銘) 1편, 서(序) 3편, 기(記) 1편, 설(說) 14편, 권3에 잡저 4편, 제문 6편, 권4에 부록으로 행장·묘표·묘지명 각 1편, 제문 7편, 유사 3편, 주의(奏議) 1편, 문(文) 3편, 시 9수, 유허비문(遺墟碑文) 1편, 정문(呈文) 1편, 권5는 묘문·전기 7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송시열(宋時烈)·곽색(郭穡)·이덕원(李德遠) 등 당시의 명상·거유들과 기삼백(朞三百)의 도수, 성리(性理)·예설(禮說) 등에 관하여 의견을 주고받은 것이며, 시사와 정치에 대한 내용도 더러 있다.

「선악설(善惡說)」은 인성의 본선에 대하여 맹자(孟子)의 설을 인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은 전연 근거가 없는 것이라고 반박한 뒤, 선이란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것이지만 악은 이욕에 탐닉하거나 행습에서 오는 것이며, 타고난 악인은 없다고 설명한 것이다.

「정사강설(精舍講說)」은 정사에서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경전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훈고(訓詁)를 설명하였으며, 사람의 마음을 시귀(蓍龜: 점칠 때 쓰는 시초와 거북)에 비유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시귀의 영험은 인심에는 비교할 수가 없다는 뜻을 밝혔다.

이밖에도 태극의 심오한 뜻을 풀이한 「태극설(太極說)」과 사단칠정이 오상(五常)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 「인의예지설(仁義禮智說)」이 있으며, 자손들에게 지킬 것을 당부한 「가훈(家訓)」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