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각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여객주인(旅客主人)을 부르던 말로, 선상(船商) 및 보부상(褓負商) 등의 상인들 사이에서 상품의 보관 및 전달 등을 담당하는 한편 숙박시설을 제공하던 상인.
이칭
이칭
여객주인, 객주, 선주인, 강주인, 포구주인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여각(旅閣)은 조선시대에 여객주인(旅客主人)을 달리 부르던 말로, 선상(船商) 및 보부상(褓負商) 등의 상인들 사이에서 상품의 보관 및 전달 등을 담당하는 한편, 숙박시설을 제공하던 상인이다. 조선 후기에 경강의 여객주인과 경모궁 일대 여객주인은 서울로 유입되는 각종 상품을 거간, 위탁판매하여 큰 수익을 거둠으로써 사상도고(私商都賈)화되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여객주인(旅客主人)을 부르던 말로, 선상(船商) 및 보부상(褓負商) 등의 상인들 사이에서 상품의 보관 및 전달 등을 담당하는 한편 숙박시설을 제공하던 상인.
내용

여객주인(旅客主人)의 이칭으로, 조선시대에 주1보부상(褓負商) 등 상인들 간의 상품 유통을 중개하던 상인이다. 여객주인은 선주인(船主人), 강주인(江主人), 포구주인(浦口主人), 객주(客主), 여각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활동 지역에 따라 내륙 주2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객주인과 주3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객주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포구의 여객주인은 조선 후기에 포구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상인층으로 성장하였다.

조선시대의 물류 유통은 내륙보다는 주로 포구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중앙 조정에서 부세를 징수할 때뿐 아니라 상인들 간에 상품을 유통할 때에도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을 선호하였다. 이에 따라 각 포구에서는 물류 유통의 중간자 역할을 하였던 여객주인이 성장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시대에 최대 물류 중심지였던 서울 주4의 여객주인은 18세기를 거치면서 상업 자본을 축적하여 주5로 발전하였다.

경강 여객주인은 주로 어물(魚物)과 곡물(穀物) 등을 보관하거나 유통하여 이윤을 남겼다. 다만 18세기 중엽까지 경강 여객주인은 시전(市廛)에 종속되어 상품을 유통하는 데 제약을 받고 있었다.

지방의 선상이 상품을 들이면 경강의 여객주인은 이를 해당 시전에 보고하고, 시전은 선상에게서 상품의 일부를 낮은 가격에 구매하였다. 시전 상인이 구매한 후 남은 상품은 여객주인이 다른 거래처를 중개해 주었는데, 중개에 대한 대가로 여객주인은 선상으로부터 주6을 받았다. 즉 18세기 중엽까지 서울의 상품 유통체계는 시전을 정점으로 하여 ‘시전-여객주인-선상’과 같은 형태로 운영되었고 할 수 있다.

변천사항

서울의 상품 유통 체계는 18세기 후반 경강으로의 상품 유입이 확대되고 선상과 여객주인 간의 관계가 공고해짐에 따라 변화를 맞이하였다. 선상의 입장에서는 시전보다 여객주인의 영향력이 더욱 강하게 미쳤는데, 선상은 여객주인을 통해서만 상품을 매매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선상에게 미치는 여객주인의 영향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확대되어 여객주인이 선상의 상품 거래 전반에 관여할 뿐 아니라 특정 선상 몇 곳과의 거래를 독점하는 것에서 군현 단위로 해당 군현의 선상 전체의 거래를 독점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경강 여객주인의 세력이 확대되면서 18세기 후반에는 시전과의 갈등이 불거졌다. 경강 주인들은 선상에게서 입수한 상품을 시전 상인에게 넘기지 않고 주7에게 판매하였다. 중도아는 시전에서 상품을 구매하여 행상(行商)이나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영세 상인이었다.

본래 중도아는 판매하는 모든 물품을 시전에서 구해야 했을 뿐 아니라 시전에게 일정 액수의 세금을 바쳐야 하였다. 따라서 이전까지 서울의 유통 체계는 ‘선상-여객주인-시전-중도아-행상-소비자’로 이루어졌다. 중도아의 규모에 따라 행상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바로 물품을 판매할 수도 있었다. 중요한 것은 시전의 존재였는데 서울의 모든 상품은 결국 시전을 중심으로 유통되었다.

그런데 18세기 후반부터는 시전을 생략하고 여객주인이 바로 중도아에게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여객주인이 중도아와 직접 거래할 수 있었던 데에는 금난전권(禁亂廛權)을 부정하는 통공(通共) 조치들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여객주인은 자신의 권리를 판매, 양도, 상속할 수 있었는데 선상과의 거래를 군현 단위로 독점할 뿐 아니라 시전을 배제한 채 자유롭게 상거래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여객주인권 가격이 급상승하였다. 또한 상업적 이익을 노리고 양반, 중앙 아문, 왕실 궁방 등에서 여객주인권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였다. 이로써 여객주인은 권력을 등에 업고 도고 상인으로 성장하게 된다.

경강 여객주인을 중심으로 발달한 경강 상업은 경강의 주요 중심지를 확대시켰다. 18세기 이전까지 경강의 주요 중심지는 3강으로 지칭되는 한강(漢江), 용산강(龍山江), 서강(西江)이었다. 그런데 18세기 중엽에는 마포(麻浦)와 망원정(望遠亭)이, 18세기 후반에는 두모포(豆毛浦), 서빙고(西氷庫), 뚝섬[둑도(纛島)]이, 19세기 전반에는 연서(延曙), 왕십리(往十里), 안암(安巖), 전농(典農)이 추가되었다. 즉 여객주인을 중심으로 한 경강 상업이 발달하면서 경강의 중심지가 확대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지식산업사, 1998)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논문

이욱, 「18세기말 서울 상업계의 변화와 정부의 대책」(『역사학보』 142, 역사학회, 1994)
고동환, 「18 · 19세기 외방포구의 상품유통 발달」(『한국사론』 1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5)
이영호, 「18 · 19세기 지대형태의 변화와 농업경영의 변동」(『한국사론』 11,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4)
이병천, 「조선후기 상품유통과 여객주인」(『경제사학』 6, 경제사학회, 1983)
주석
주1

배를 팔고 사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있어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따위를 유통하였다.    우리말샘

주3

배가 드나드는 개의 어귀.    우리말샘

주4

예전에, 서울의 뚝섬에서 양화 나루에 이르는 한강 일대를 이르던 말. 서울로 오는 세곡, 물자 따위가 운송되거나 거래되었다.    우리말샘

주5

조선 후기에, 개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하여 성장한 도고.    우리말샘

주6

흥정을 붙여 주고 그 보수로 받는 돈.    우리말샘

주7

조선 후기에, 시전에서 물건을 떼어 소비자에게 직접 팔거나 행상에게 팔던 일종의 중간 상인.    우리말샘

집필자
최주희(덕성여자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