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선은 떠난다 (은 떠난다)

목차
대중음악
작품
박영호(朴英鎬) 작사, 김해송(金海松) 작곡, 장세정(張世貞) 노래의 대중가요.
목차
정의
박영호(朴英鎬) 작사, 김해송(金海松) 작곡, 장세정(張世貞) 노래의 대중가요.
내용

1937년 오케레코드에서 발매한 음반에는 박영호 작사, 김송규(김해송의 본명) 작곡으로 표기되어있다. 일제가 36년간 우리나라를 지배함과 동시에 대륙침략의 도구로 이용하였던 관부연락선에 얽힌 노래이다. 대한해협을 오가는 연락선은 우리 민족에게는 한과 비애의 대상이었고, 일본인들에게는 기쁨과 희망의 연락선이었다.

특히, 우리 민족에게는 사지(死地)로 끌려가는 눈물의 뱃길로, 이런 서민감정을 표현한 감성적인 노래이다. 평양의 한 백화점의 여점원이던 장세정은 이 노래 한 곡으로 불세출의 정상급 가수가 되었다. 전형적인 일본의 단조음계로 구성된 엔카풍(演歌風)의 노래이다.

8ㆍ15광복 후 작사자 박영호는 월북하였고, 작곡자 김해송은 K.P.K악단이라는 쇼단을 구성하여 미국의 재즈음악과 우리나라의 민요를 접목시킨 음악으로 개성 있는 무대를 꾸몄다. 불행히도 6ㆍ25동란 때 납북되어 생사를 확인할 길이 없다.

1951년 일본의 인기여가수 스가와라 쓰즈코(菅原都都子)가 「연락선의 노래(連絡船の唄)」라는 제목으로 취입, 크게 유행시켰는데, 작곡자 이름을 가네야마(金山松夫)로 표기했다. 엔카풍의 노래라서인지 지금도 일본에서는 그들의 작품으로 알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가요사 1』(박찬호, 미지북스, 2009)
『가요60년사』(황문평, 전곡사, 1983)
『노래백년사』(황문평, 숭일문화사, 1981)
『문예총감』(최창봉 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가요반세기』(한국문화방송 편, 성음사, 197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