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유전답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토지 지목으로 공연(孔烟)이 국가로부터 지급받아 소유하고 있는 밭과 논.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통일신라시대
내용 요약

연수유전답은 신라시대에 토지 지목으로 공연(孔烟)이 국가로부터 지급받아 소유하고 있는 밭과 논이다. 「신라촌락문서」에 나오며, 개별 공연이 소유한 토지를 국가가 법적으로 소유권을 인정해 주는 절차를 거쳤고, 이 과정에서 영역 안의 토지는 모두 왕의 토지라고 하는 왕토사상(王土思想)에 의거하여 개별 공연이 소유한 토지를 연수유전답이라 표현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수유전답은 통일신라 수취제도와 토지제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토지 지목으로 공연(孔烟)이 국가로부터 지급받아 소유하고 있는 밭과 논.
내용

공연(孔烟)이 국가로부터 지급받아 소유한 밭과 논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일본 나라시의 쇼소인〔正倉院〕에서 발견된 「 신라촌락문서」에 나온다. 여기에는 개별 공연이 소유한 연수유전답 면적이 아니라 4개 촌에 존재한 연수유전답의 총면적만이 기록되어 있다.

4개 촌 가운데 1개 촌의 공연 수는 알 수 없다. 나머지 3개 촌의 공연당 평균 연수유전답 면적은 각각 14 결(結) 19 부(負) 4 속(束), 11결 93부 3속, 10결 21부 8속이고, 공연당 평균 호구 수는 13.4명, 8.3명, 11.8명이었다. 3개 촌의 평균 호구 수 10.4명이 평균 연수유전답 12결 15부 3속을 경작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개별 공연이 경작하기에 매우 넓은 면적이다. 따라서 연수유전답은 주1 또는 주2이 중심을 이루었다고 이해한다.

「신라촌락문서」에 내시령답(內視令畓)과 주3이 나온다. 이들 토지 지목은 국가 또는 국가기관에 소유권이 있는 국 · 공유지, 즉 공전(公田)에 속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소유자가 임의대로 처분할 수 있는 토지를 사전(私田)이라 불렀다. 「신라촌락문서」에는 각 촌의 전답을 내시령답, 관모전답, 연수유전답으로 나뉘어 기재되어 있다. 내시령답 · 관모전답과 달리 연수유전답이 사전에 속하였음을 반영한다.

722년(성덕왕 21)에 백성들에게 처음으로 정전(丁田)을 지급하였다. 연수유전답과 정전을 동일한 토지 지목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제기되었으나, 연수유전답의 소유 주체는 공연이고, 정전은 (丁)을 기준으로 지급한 것이기 때문에 널리 수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연수유전답이라는 표현에 의거하여, 중국의 주4와 마찬가지로 국가에서 정 또는 정녀(丁女)에게 균일하게 토지를 지급하였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신라에서 균전제를 실시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현재 개별 공연이 소유한 토지를 국가가 법적으로 소유권을 인정해 주는 절차를 거쳤고, 이 과정에서 영역 안의 토지는 모두 왕의 토지라고 하는 주5에 의거하여 개별 공연이 소유한 토지를 연수유전답이라 표현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일신라시대에 결부(結負)의 면적에 따라 수확량의 10분의 1을 주6로 거두었다고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르면, 신라는 연수유전답의 면적에 따라 전조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통일신라시대에 주7 또는 주8에 따라 전조를 차등을 두어 부과하였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

당나라에서 가호의 등급을 산정할 때, 토지의 면적이 아니라 곡물의 양을 반영하였다. 신라에서도 당나라와 마찬가지로 수확한 곡물의 양을 비롯한 자산(資産)을 기준으로 공연을 9등급으로 나누고, 호등(戶等)에 따라 차등을 두어 조(租)를 부과하였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이에 의거하면, 조세를 거두어들이는 데 연수유전답의 면적이 아니라 거기에서 수확한 곡물의 양이 더 중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연수유전답의 면적에 따라 가호의 등급을 나누고, 호등에 따라 차등을 두어 조세를 거두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연수유전답에는 촌주위답(村主位畓) 19결 70부가 포함되어 있다. 촌추위답은 촌주라는 직임을 수행하는 대가로 전조 또는 부가세의 성격이 강한 토지세의 부과를 면제한 토지 지목으로 이해한다.

의의 및 평가

연수유전답이라는 표현에서 신라 사람들이 왕토사상을 기초로 국가가 사전에 대한 본원적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국가는 본원적 소유권에 의거하여 사전 소유주의 권리 행사를 일부 제한할 수 있었는데, 사전을 사원에 기증하고자 할 때, 국왕의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하였던 점을 실례의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연수유전답은 통일신라의 수취제도와 토지제도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연수유전답의 경영 방식, 그에 대한 조세 수취 방식, 호등의 산정 기준과 연수유전답과의 관계 등을 둘러싸고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연수유전답에 대한 이해가 진전된다면, 통일신라의 수취제도와 토지제도에 대한 이해가 한 단계 더 심화되리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신라촌락문서」

단행본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태학사, 2006)
김용섭, 『한국중세농업사연구-토지제도와 농업개발정책』(지식산업사, 2000)
이희관, 『통일신라토지제도연구』(일조각, 1999)
이인철, 『신라촌락사회사연구』(일지사, 1996)
김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사회변동과 관련하여』(역사비평사, 1991)
허종호, 『토지제도발달사』-1(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浜中昇, 『朝鮮古代の經濟と社會』(法政大學出版局, 1986)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法政大學出版部, 1972)

논문

박찬흥, 「신라 중 · 하대 토지제도 연구」(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교 박사학위논문, 2000)
이태진, 「신라통일기의 촌락지배와 공연」(『한국사연구』 25, 한국사연구회, 1979)
兼若逸之, 「신라 《균전성책》의 연구: 이른바 민정(촌락)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사연구』 23, 한국사연구회, 1979)
이인재, 「신라통일기 토지제도 연구」(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武田幸男, 「新羅の村落支配-正倉院所藏の追記をめぐつて」(『朝鮮學報』 81, 1977)
주석
주1

땅이 기름지지 아니하여 한 해 걸러 경작하는 땅.    우리말샘

주2

땅이 몹시 메말라 두 해 걸러 경작하는 땅.    우리말샘

주3

통일 신라 시대에, 관아에서 쓰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둔 토지.    우리말샘

주4

중국 수나라ㆍ당나라 때에 시행한 토지 분배 및 조세 징수 제도. 5세기 후반 북위의 효문제가 처음 시작하여 수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 발달한 것으로, 구분전 80묘와 영업전 20묘를 나누어 주어 구분전은 본인이 사망하면 국가에 반납하게 하였으나 영업전은 자손에게 세습하게 하였다. 조용조의 조세 제도에 기초를 둔 부병제와 같이 존속하였으나 8세기 중엽에 안녹산의 난으로 무너졌다.    우리말샘

주5

모든 토지는 왕의 땅이라고 하는, 고대의 토지에 대한 사상. 중국 주(周)나라의 토지 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천하의 토지는 왕의 토지가 아닌 것이 없고, 천하의 신하는 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다’는 ≪시경(詩經)≫의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우리말샘

주6

논밭에 대한 조세(租稅).    바로가기

주7

전답의 품등(品等).    우리말샘

주8

흙의 기름짐과 메마름.    바로가기

집필자
전덕재(단국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